"금리 정점 때까지 아파트값 더 떨어진다"

심은지 2022. 7. 21. 17: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서 전국 부동산시장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하지만 지난달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한 뒤부터 낙폭이 -0.02%, -0.03% 등으로 커지기 시작했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적어도 1년간 금리 인상이 잇따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만큼 이 기간 집값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기준금리 2%라는 임계점을 이미 넘어섰기 때문에 공급 물량, 규제 개선, 인플레이션 등 다른 변수들은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낙폭커지는 전국 아파트
한국은행 첫 '빅스텝' 여파
재건축 기대 강남도 하락폭 커
< "급매물 나왔어요" > 서울 아파트가격이 8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하락폭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21일 서울 잠실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급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내걸려 있다. /김범준 기자

“일단 대세 상승기는 마무리됐습니다. 금리가 정점을 찍었다는 신호가 있기 전까지는 더 빠지냐, 덜 빠지냐의 차이일 겁니다.”(박원갑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서 전국 부동산시장이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금리 앞에 장사 없다’는 시장 격언처럼 지방과 수도권을 가리지 않고 내림세가 커지고 있다.

◆신고가 대비 30% 하락 속출


지난해 단기 급등세를 보였던 수도권 남부를 중심으로 매주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셋째주(18일 기준) 경기 아파트가격은 전주 대비 0.06% 떨어졌다. 11주 연속 내림세다. 낙폭도 전주(-0.04%) 대비 0.02%포인트 커졌다. 이는 2019년 6월 24일(-0.07%) 이후 2년여 만의 최저치다.

안양, 수원, 화성 등에선 최고가 대비 30% 하락한 단지가 속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안양 평촌동 ‘인덕원 대우’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8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신고가(12억4000만원·작년 8월) 대비 30% 떨어진 가격이다. 수원 권선구 세류동 ‘수원역해모로’ 전용 84㎡는 이달 초 6억250만원에 팔려 작년 10월 기록한 신고가(8억2500만원)에서 27% 빠졌다.

화성 동탄신도시 ‘더샵레이크 에듀타운’ 전용 84㎡는 신고가(11억6500만원·작년 8월)에서 27% 빠진 8억5000만원에 지난달 거래됐다. 1년 새 3억원 이상 떨어졌다.

경기 지역 아파트 거래량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경기 지역 부동산 거래량은 상반기(1~6월) 기준 총 14만751건으로, 지난해 상반기 24만5055건에 비해 42.6% 줄었다. 특히 아파트 거래량이 같은 기간 9만1506건에서 2만9334건으로 무려 67.9% 급감했다.

◆금리 인상 멈출 때까지 하락 불가피

서울도 분위기는 다르지 않다. 8주 연속 내림세가 이어진 데다 낙폭도 매주 커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4~5월 사이에는 3주간 보합, 2주간 -0.1%를 나타내며 매수·매도 양측의 줄다리기 양상이 이어졌다. 하지만 지난달 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한 뒤부터 낙폭이 -0.02%, -0.03% 등으로 커지기 시작했다.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가 모인 강남(-0.02%)과 대통령실 이전 후 개발 호재 이슈로 강세를 보인 용산(-0.02%)까지 낙폭을 키우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은 2018년 11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32주 연속 하락한 바 있지만 당시엔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 규제에 따른 영향이었다.

지금은 금리가 가장 큰 변수라는 데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박 수석전문위원은 “적어도 1년간 금리 인상이 잇따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만큼 이 기간 집값 하락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기준금리 2%라는 임계점을 이미 넘어섰기 때문에 공급 물량, 규제 개선, 인플레이션 등 다른 변수들은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공급 물량에 따라 변곡점이 달라질 것이란 관측도 있다. 예컨대 지방광역시 중에도 공급 물량이 많은 대구(전주 대비 -0.18%) 대전(-0.10%)은 대세 하락장이 시작됐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반면 광주(-0.01%)와 부산(-0.02%)은 아직까지는 하락장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이다. 윤수민 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은 2024년까지 공급 물량이 부족하다”며 “서울은 집값 하락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