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도 용광로' 전기차 화재, 현재로선 '운명'..안전하게 타고 싶은데

최기성 2022. 7. 21. 15: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왜 불이 날까" 심포지엄
전고체 등 더 안전한 배터리 필요
안전기준 강화, 신속한 리콜 시행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전기차 화재 재연 실험 [사진 출처 = 서울시]
전기차는 한번 불이 나면 순식간에 '용광로'에 버금가는 1000도까지 올라가고 끄기도 어렵다.

전기차 화재 발생을 제어하기 어려운 현 상황에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터리 안전기준을 높이고 운전자도 완속 충전을 생활화하는 게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Korea Automobile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이승용)는 21일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 컨벤션홀 3홀에서 '전기차, 왜 자꾸 불이 날까?'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21일부터 23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2 국제그린카전시회' 개막식에 앞서 열렸다.

심포지엄은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의 전기차 화재 사고 사례 및 대응 방안 ▲박균성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 자동차안전팀장의 전기차 등 미래차 안전 관리 강화방안에 대한 주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전기차, 근본적으로 화재 위험 존재"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전기차 화재 심포지엄 [사진 출처 =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의 좌장을 맡은 김철수 호남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부 교수는 "매우 높은 전압의 전기를 사용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닌 배터리를 장착하는 전기차는 근본적으로 전기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최근 전기차에 주로 탑재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납산 배터리에 비해 위험도가 높지만 안전성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적용까지 하게 됐다"며 "현재 화재 사고들은 엔지니어들이 놓친 부분들이 있었고 품질관리가 안 된 점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향후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해 좀 더 안전한 배터리가 개발되고 경험이 쌓이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근본적으로 위험요소를 갖고 있는 만큼 엔지니어들은 더욱 세심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국제 기준이 제정되고 업데이트 되고 있으나 이는 정상 조건에서의 시험평가이고 교통사고 등 비정상 조건에서의 평가는 현재 없다"고 지적했다.

이 고문은 "최소한의 인명 구조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정상 조건(열폭주, 열전이 상태)에서의 시험 평가가 필요하다"며 "현재 기술로 열폭주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므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열폭주를 제어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전기차 화재 재연 실험 [사진 출처 = 서울시]
송지현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중대사고조사처장은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기본은 우선 고전원 배터리 자체 품질을 높여 화재 발화 요인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면서도 "품질 불량을 제로(0)로 해 단 한 건도 불량이 나오지 않게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부분"이라고 밝혔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도 "전기차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순간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열전도를 막기 위해 물을 쏟아 붓게 되면 열폭주가 뒤따르는 어려움이 있다"며 "현존하는 기술로는 수조에 넣고 열전도를 막고 반응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방법 밖에 없다는 것이 걱정을 배가시키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및 의무화 필요"
전기차 구조 설명 자료 [사진 출처 = 무공해차통합누리집]
현 상황에서는 100% 예방하기 어려운 전기차 화재로 발생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안전기준 강화, 신속한 리콜, 안전관련 기능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송 중대사고조사처장은 "전기차 화재 피해를 최소화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기능을 지금보다 훨씬 더 강화하고 의무화해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며 "안전과 관련된 기능은 꼭 의무화(법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균성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 자동차안전팀장 [사진 출처 = 한국자동차기자협회]
박균성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 자동차안전팀장도 "전기차 등 미래차의 안전성 향상과 결함 발생 시 신속한 시정(리콜)이 요구된다"며 "정부는 미래차의 안전 확보 및 사전 대응을 위해 안전관리 체계를 고도화하면서 전기차의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등의 신산업 지원 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팀장은 "이를 위해 첫째,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장치에 대한 안전기준을 보강하고 화재에 대응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화재 확산방지 기술 개발 등 안전에 대한 투자도 확대한다"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아울러 "배터리 핵심 장치에 한해서 정부가 사전에 안전성을 인증하는 체계로 개편하고 인증 사항 준수 여부를 지속 관리할 계획"이라며 "제작결함 조사 방식과 절차를 합리화·효율화해 신속한 조사를 통해 제작 결함을 시정토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완충 비율 낮추고 완속 충전 권장"
전기차 충전기 종류 [사진 출처 = 서울시]
전기차 화재 피해를 예방하고 배터리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완충 비율을 낮추고 완속 충전을 생활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상무는 "전기차를 안전하고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충전량은 20%∼80% 사이를 유지해줘야 한다"며 "밸런스 있게 충전하기 위해서 한 달에 한번 정도는 완속 충전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호근 교수는 "전기차의 안전도 검사는 일반적인 자동차 기준을 따를 수밖에 없고, 고속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까지 예방하려면 안전도 기준을 몇 배 강화해야 한다"면서도 "이는 차량가격 상승을 유발할 수밖에 없고 보급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사고 발생 때 상대 차량 파손 및 운전자 부상을 가중시킬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에 "결국 현존하는 시스템 상에서 1회 충전 주행거리에 다소 손해를 보더라도 완충 비율을 85% 내외로 낮추고, 완속 충전을 습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충전 인프라 보급이 보다 폭넓게 이뤄진다면 크게 불편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이와 함께 "정부는 충전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화재 발생 때 대처할 수 있도록 전문가 집단을 구성해 선진적인 방안 연구에 노력해야 한다"며 "제작사는 충전 방식의 전환에 따른 위험률 감소 홍보에 노력해야 하고, 소비자는 다소의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공익과 환경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기성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