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해시드, 테라·루나 폭락 전 1300억 매도..모럴헤저드 논란
해시드 측 "리워드 판 것 문제 없어" vs 업계 "모럴헤저드"
"문제는 리워드 덤핑 물량..비상식적인 양, 시장 교란"
매도 와중에도 김서준 대표 "테라, 성장통 겪는 중"
[이데일리 김연지 기자] 테라·루나 폭락 사태에 대한 논란이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해당 프로젝트를 크게 지지했던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가 사건이 터지기 5개월 전부터 약 1300억 원 어치의 루나를 매도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해시드 측은 초기 투자시 획득한 기존 코인을 건드린 것이 아니라 테라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 출시 이후 꾸준히 획득한 스테이킹 리워드(Staking Reward, 특정 가상자산을 일정 기간 예치하면 그 대가로 가상자산을 보상으로 얹어주는 형태)를 매도한 것이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아무리 리워드로 획득한 코인이더라도 5개월 만에 1300억 원 어치를 매도하는 것은 시장 질서를 교란시킬 수 있는 행위라는 지적을 내놓는다.
20일 이데일리가 해시드의 테라 지갑 데이터를 역추적한 결과 해시드 측은 사태가 터지기 전인 지난 12월 말부터 약 8차례에 걸쳐 루나 코인(현 루나 클래식) 1260억 원(현 환율 기준) 어치를 바이낸스 계정으로 이체했다. 당시는 루나 시세가 약 80~100달러를 오갈 때로, 매 송금 시 최소 280만 달러(약 37억 원)에서 많게는 2000만 달러(약 261억 원)에 가깝게 송금 작업을 진행했다.
해당 바이낸스 계정은 테라·루나를 예치할 수 있는 바이낸스 입금 주소로, 지난 몇 달에 걸쳐 테라·루나 외에도 대규모의 다양한 코인이 입금된 바 있다. 온체인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국내 한 기술사 관계자는 “해시드 계정에서 해당 바이낸스 입금 주소로 여러 번 송금한 내역이 뜨는데다 송금 시 사용한 메모 값도 같다”고 설명했다.
테라 거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테라 파인더’에 따르면 지난 12월 말 해시드 측은 자체 지갑에서 11만 개의 루나를 바이낸스 입금 주소로 이체했다. 이어 지난 3월 24일과 31일에는 각각 20만 개와 8만7000개의 루나를, 4월에는 세 차례에 걸쳐 약 60만 개의 루나를 이체해 매도했다. 폭락 사태가 일어나기 직전까지도 매도 작업은 이어졌다. 지난 5월 3일과 6일 해시드 계정에서는 총 13만 개 이상의 루나가 바이낸스 주소로 이체됐다.
해시드 측은 이러한 매도 행각에 특별히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해시드 관계자는 “노드 운영 유지를 위한 비용 충당 및 재투자 차원에서 리워드를 주기적으로 매도하는 것은 노드 운영자(밸리데이터)들의 기본적인 운영 행태”라며 “10여 개의 테라 기반 프로젝트에 총 1000억 원 이상의 금액을 재투자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핵심은 재투자 여부와는 별개로 매도 물량이 지나치게 큰 데다 짧은 기간에 이뤄졌다는 게 업계 지적이다. 타 밸리데이터들의 루나 리워드 매도 내역과 견줘도 해시드의 주장에 어패가 있다는 설명이 뒤따른다. 예컨대 해시드와 같은 테라 밸리데이터인 DSRV가 테라 노드를 운영한 이후로 바이낸스로 이체한 물량은 지난해 10월과 11월, 12월 세 차례뿐이며, 수량도 2만6810개에 불과하다. 상대적으로 DSRV의 보팅 파워(3.9%)가 해시드(5.9%) 대비 낮긴 하지만, 이를 고려해도 해시드가 지나치게 많은 물량을 매도했다는 것이 업계 전언이다. 지난 2017년부터 글로벌 프로젝트를 운영해온 업계 한 관계자는 “아무리 리워드를 매도하더라도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조절하는 것은 크립토펀드사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매너”라며 “매도 후 재투자를 하더라도 한 밸리데이터가 이렇게 많은 물량을 매도하는 것은 시장 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로,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테라·루나 프로젝트에 초기 투자를 집행하며 조력자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지난 2019년만 해도 김 대표는 미디움에 ‘루나의 적정 가격은 얼마일까’라는 제목을 글을 게재하며 티몬과 야놀자, CU, BC카드 등이 테라 생태계에 참여한다는 점을 피력했다. 특히 “최초의 투자 결정은 ‘대중화된 스테이블코인’ 이라는 비전에 대한 믿음으로 진행됐지만, 어느덧 객관적으로 가치 평가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와 증거들이 쌓이고 있다”며 테라·루나의 가치 상승을 전망하기도 했다. 사건이 터진 뒤에도 김 대표는 테라·루나를 옹호했다. 그는 테라의 스테이블코인(UST) 고정 가격이 무너진 것에 대해 “지금은 그간 없었던 성장통에 직면한 것”이라며 “유동성은 무너졌지만, 가격 연동 메커니즘 자체는 잘 보존됐고, 충분한 유동성이 공급되면 UST 가격은 1달러로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김연지 (ginsbur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생많다"며 건넨 수면제 음료…택시기사는 1700만원 털렸다
- 추미애 "이것이 최선의 세상이냐"…대통령 대응 비판
- 김건희 여사 특검 요구…"주가조작 관여 증거 넘쳐난다"
- "나 기억하지?"…고교생 64차례 찌른 20대男, 그날의 참사
- “직접 에어컨 설치하러 간다” 도보행진 나선 쿠팡 노동자들
-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 조윤선 전 장관과 사돈 맺는다
- 수천억 횡령 범죄수익, 되돌려 받을 수 있을까요?[궁즉답]
- [단독]서울 지하철 '임산부석' 알림 시스템 도입
- 이무진 소속사, '신호등' 표절 의혹 부인 "노력으로 탄생"
- 내년 아시안컵 '한국 개최 유력', 손흥민 국대 은퇴 무대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