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습격에 '추석 선물세트'도 달라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플레이션 습격으로 올 추석 선물세트가 달라진다.
올 추석 선물세트 역시 이 같은 트렌드에 힘입어 '가성비' 상품이 인기를 끌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 추석은 유통업계 전반이 '물가 잡기'를 강조하는 만큼 가성비, 실속형 선물세트를 더 확대했고 본 판매 기간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예약 판매 기간도 크게 늘렸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5만원 이하 가성비 강조한 선물세트 인기...예약 판매 기간도 늘려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인플레이션 습격으로 올 추석 선물세트가 달라진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최근 2년 간 '비대면 명절'이 익숙해지며 선물이라도 좋은 걸 보내자는 심리에 최고급을 내세운 ‘프리미엄 선물세트’가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에 달하고 고금리와 고환율로 소비 심리는 물론 소비 여력이 크게 위축돼 '짠테크', '무소비', '무지출'이 트렌드로 떠올랐다. 올 추석 선물세트 역시 이 같은 트렌드에 힘입어 '가성비' 상품이 인기를 끌 전망이다.
일찌감치 추석 선물세트 예약 판매에 나선 대형마트는 예년보다 저렴한 상품군 비중을 대폭 늘렸다. 본 판매보다 저렴한 가격을 자랑하는 예약 판매 기간을 확대하는 등 가성비 수요 잡기에 나섰다.
이마트는 5만원 미만의 실속 선물세트 ‘리미티드 딜’을 지난해 추석(4종)보다 3배 가량 늘린 11종으로 확대했다.
‘리미티드 딜’ 선물세트는 대량 매입과 사전 비축을 통해 기존 선물세트 대비 가격을 최대 40% 가량 낮춘 한정판 실속세트다.
기존 ‘리미티드 딜’ 세트는 사과, 배, 곶감 등 신선식품 선물세트가 대부분이었지만, 올 추석은 샤인머스캣, 사과, 배, 버섯 등 신선식품부터 김, 견과, 오일 등 가공식품까지 상품군을 확대했다.
이마트는 올해 처음으로 건강식품 공동 펀딩구매도 진행한다. 상품당 최소 펀딩 인원이 모이면 최대 75%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롯데마트도 5만원 미만의 선물세트를 작년 추석보다 10% 더 늘렸다.
또 3만원 미만의 과일 선물세트도 준비해 ‘씻어나온 GAP사과 3kg(12개)’를 2만5900원에, ‘전주배 (5kg)’를 2만9900원에 판매한다. 9900원에 판매하는 김 선물세트도 올해는 5종류로 확대했다.
홈플러스도 가성비 선물세트 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총 585종의 선물세트 예약판매 중 5만원 미만의 가성비 선물세트 비중을 72%로 늘렸다. 3만원대 이하 선물세트는 작년 추석보다 27% 늘렸다.
이처럼 대형마트 업계가 작년 추석 대비 '가성비'를 강조한 선물세트 판매 비중을 늘린 가운데 선물세트 예약 판매 기간 역시 내달 31일까지로 40일 넘게 진행한다.
통상 예약 판매 기간은 30여 일 진행하는데 올해는 특별히 이 기간을 더 길게 잡았다.
업계 관계자는 "올 추석은 유통업계 전반이 '물가 잡기'를 강조하는 만큼 가성비, 실속형 선물세트를 더 확대했고 본 판매 기간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예약 판매 기간도 크게 늘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nly@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뇌신경 마비' 김윤아 입원 치료…핼쑥한 얼굴
- "배곯은 北 군인들, 주민 도토리 뺏으려다 두들겨 맞고 기절"
- FC안양 '초보 사령탑' 유병훈, 어떻게 승격의 문 열었나
- '기온 뚝' 열손실에 저체온증 비상…'이런 증상' 위험신호[몸의경고]
- 헬스장서 브라톱·레깅스 입었다고…"노출 심하니 나가주세요"
- 남편 몰래 직장 男동료와 카풀했다가 '이혼 통보'…"억울해요"
- 무인 사진관서 '성관계' 커플에 분노…"짐승이냐, 충동만 가득"
- 효민, 조세호 9살연하 ♥아내 공개…단아한 미모
- 비즈니스석 승객에 무릎 꿇고 사과한 男승무원…중화항공서 무슨 일?
- 윤 지지율 10%대, TK도 급락…위기의 여, 김 여사 문제 해결·쇄신 요구 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