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불황 때 깎인 임금 회복시켜달라"..해결 안 되는 이유는?
[앵커]
정새배 기자와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
점거가 이제 한 달이 다 되어가는데 실마리가 안 풀리는 이유 뭘까요?
[기자]
우선 노사 양측이 얘기하는 인상 가능 금액 차이가 워낙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협력업체 노동자들은 2016년 조선업 불황 당시 삭감된 임금이 아직도 그대로이다, 이 걸 다시 회복시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봉이 삭감 당시 금액보다 30% 가량 적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노조 전임자에 대한 타임오프제, 근로시간 면제도 함께 요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럼 이런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건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기자]
인상 폭에 대한 입장 차이도 있지만 대화 당사자들의 복잡한 구조도 한 원인으로 보입니다.
대우조선해양에는 백 곳이 넘는 협력사가 있습니다.
지금 파업에 들어간 노조원이 가입한 회사는 이 가운데 일부입니다.
협력업체 노조가 임금을 올려달라고 요구하지만 협력업체 입장도 복잡합니다.
노조 요구처럼 임금을 올려주려면 원청인 대우조선해양이 자신들에게 주는 도급비를 올려줘야 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대우조선해양은 이미 협력업체와 계약이 끝난 상황이라 개입할 부분이 없다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과거 판례 등을 근거로 원청도 법률상 사용자로 교섭 의무가 있는 만큼 대우조선해양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앵커]
요즘 조선업계가 다시 호황을 맞았다고 하는데 원청이 협력업체에 주는 도급비를 올려주기는 어렵나요?
[기자]
요즘 조선업계가 호황이라고는 하는데 이건 수주 실적이 그렇다는 거고요,
조선은 배를 만드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서 이게 실제 영업이익에 반영되는 데 시차가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1조 7천억 원가량 영업적자를 냈고, 올 1분기에 4,700억 원의 영업적자를 냈습니다.
여기에다 지금 배를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 가격도 대폭 올라서 공사대금을 올려줄 형편이 못 된다는 게 대우조선해양의 입장입니다.
[앵커]
그래서 노조쪽에서 산업은행이 나서달라 이런 요구를 하는 거군요?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운신의 폭이 넓지 않다보니, 채권단인 산업은행의 역할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그런데 산업은행도 입장은 대우조선해양과 비슷합니다.
앞선 기사에서 전해드렸지만 협상 당사자가 아니어서 직접 나설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어느 정도 합의가 이뤄지고 산업은행의 역할이 필요하면 관여할 수 있다, 이 정도 입장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김선영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