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시 대담] 위기의 제주 바다 해양포유류 보호 대책은?

KBS 지역국 2022. 7. 19. 19:4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제주] [앵커]

앞서 문준영 기자 리포트에서 제주 연안 해양포유류 부검 교육 현장을 전해드렸는데요.

교육에 직접 참하고 있는 전문가와 함께 좀 더 자세히 이 문제 살펴보겠습니다.

김병엽 제주대 해양과학대학 교수 자리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어제부터 제주 해역에서 폐사체로 발견되는 해양포유류의 부검 교육이 시작됐는데요.

교육에 참여하는 기관과 전문가들은 어떤 분들인가요?

[앵커]

지금 진행중인 교육을 포함해 올해 두 차례에 걸쳐 모두 20개체의 해양포유류 폐사체를 부검하실 계획인데, 현재 몇 개체 정도 부검이 이뤄졌고 눈여겨볼 만한 결과가 있나요?

[앵커]

이번 해양포유류 부검 교육을 통해 규명하려는 내용은 어떤 것들입니까?

[앵커]

지난 4월에도 성산읍 해안에서 남방큰돌고래 폐사체가 발견된 적이 있었는데, 최근 제주 연안에서 남방큰돌고래 폐사 현황은 어떻습니까?

[앵커]

지금까지 드러난 남방큰돌고래의 주요 폐사 원인은 무엇인가요?

[앵커]

지난 3년간 제주 해안에서 폐사한 상괭이가 다수 발견됐죠.

남방큰돌고래와 달리 상괭이는 제주 해역에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요.

제주에서 계속해서 폐사체가 발견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고 계세요?

[앵커]

기후 온난화도 해양 포유류 생태에 영향을 주고 있나요?

[앵커]

제주 해상에서 배를 타고 돌고래 무리를 구경하는 관광이 인기를 모으고 있는데요.

선박들이 돌고래에 근접하는 상황이 자주 목격되면서 환경단체에서 문제로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어떻게 보세요?

[앵커]

2017년 해양수산부에서 남방큰돌고래 관찰가이드 지침까지 만들어 시행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는데요.

어떻게 보완해야 한다고 보세요?

[앵커]

교수님께서 생각하시는 해양 포유류 보호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출연 감사드립니다.

KBS 지역국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