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일단 환영 "소부장 인력난에도 숨통"
반도체 생태계 강화될 것"
후속 재원마련 조치 기대도
◆ 반도체 인재 육성 ◆
정부가 19일 발표한 반도체 전문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해 업계는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다만 교육 현장에서 학생을 직접 가르치는 전문가들은 구체적 실천 방안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날 정부의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 발표에 반도체 업계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한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반도체 학과 정원 제한을 푸는 것이 업계의 숙원 사업"이라며 "계약학과를 설립해 채용해온 지금보다 더 많은 전공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책이 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의 인력난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인력 양성을 담당하는 교수들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정호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반도체 학과 10개를 설립한다거나 반도체 대학원 10곳을 만든다는 등 구체적인 숫자가 없어서 아쉽다"며 "예산을 얼마나 투입할지, 목표 기한을 언제까지로 할지에 대한 내용도 빠져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많은 아이디어가 담겨 있지만,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보고용 계획을 만든 것 같다"며 "기존의 정책을 확대하려는 정도로 보이고 실행 방안이 없어 제대로 효과를 낼지 불안하다"고 꼬집었다.
정부가 새로 만든 계약정원제가 단기적인 해법에 그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 교수는 "반도체 학과 학부생을 길러내려면 4년, 석·박사생을 양성하려면 총 10년이 걸린다"며 "단기적으로 계약학과를 확대하기보다 장기적으로 30년 이상의 계획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수도권대학 학부 정원 총량 제한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새로 발표한 계약정원제는 계약학과와 큰 차이가 없어 근본적 해법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울대의 경우 특정 기업을 위해 인력을 양성해선 안 된다는 이유로 계약학과 설립에 반대 목소리가 있다"며 "계약학과를 계약정원제로 확대하더라도 반도체 학과를 설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된 교원 확보 방안에 대해서도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이 교수는 "교수 숫자를 얼마나 확대하고, 지원이 어떻게 되는지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정부 차원의 꾸준한 관심과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과 교수는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여러 부처의 일인 만큼 총리나 대통령 주재로 이행 상황을 체크하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은 "그간 논의된 내용이 총망라돼 잘 담겼다"면서도 "계획이 이행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재원이 확실하게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한국형 스텔스기 KF-21, 첫 시험비행 성공
- `지긋지긋 코로나` 재감염자 7만명…세번째 확진 사례도 108명
- 이건희 소환한 윤석열…"장관들이 스타 돼라"
- 치솟는 인건비에 창업 몰린 이 업종…알바 없어도 잘되는 까닭
- 교원만 확보하면 반도체학과 신증설…수도권大 규제도 푼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카카오식 AI ‘카나나’…시장은 냉혹했다
- 한소희, 숨겨진 ‘1년의 진실’…알려진 ‘94년생’ 아닌 ‘93년생’과 어머니의 수배 아픔 - MK스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