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성장률 석달새 4.8%→0.4%… 韓 대중무역 석달 연속 적자 위기
청년실업률도 19.3%로 사상 최고
전문가들 “투자·소비·집값 침체, 중국 경제 V자 회복 쉽지 않을것”
韓銀 “中성장률 1%P 낮아지면 한국도 0.1%P~0.15%P 낮아져”
15일 2분기 성장률을 발표하는 기자회견 자리에서 푸링후이 중국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2분기 코로나 방역 효과와 일련의 성장 안정 정책의 시행으로 중국 경제가 점차 코로나의 부정적 영향을 벗어나 회복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중국 성장세가 가장 비관적으로 본 시장 예상치(1.0%)보다도 낮았다는 점, 7월 들어 중국 곳곳에서 전염력이 강한 오미크론 하위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는 점 등 때문에 중국 경제가 ‘V자형’의 급속한 반등에 성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상 엎친 데 중국 쇼크까지 덮쳤다
미국이 41년 만의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에 신음하고, 유럽은 전쟁발 에너지 대란으로 경기 침체 목전에 다다른 가운데 중국마저 휘청이면서 세계 경제에 암운이 드리우고 있다. 중국은 올 들어 세계 주요국이 급격히 금리를 인상하며 긴축하는 와중에도 금리를 내리는 확장 정책을 써왔다. 올해 5%대 성장률 목표 아래 세계 경제의 ‘마지막 믿을 구석’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경제를 희생시키면서까지 고집스럽게 ‘코로나 제로’ 정책을 고수하면서 2분기 성장세는 모두의 예상을 뒤엎었다. 강력한 봉쇄로 도시가 두 달간 마비됐던 상하이가 전년 대비 -13.7%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을 뿐 아니라 중국 경제성장의 엔진인 광둥(0.7%)을 비롯해 장쑤(-1.1%), 저장(0.1%) 등 동부 연안 지방들도 ‘제로(0) 성장’에 가까운 성적을 냈다.
세계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중국 성장률을 각각 4.3%와 4.4%로 예상했지만, 모두 전망치를 새로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경제 전문가가 중국 경제가 하반기 어느 정도 반등하겠지만, V자 형태로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등이 선진국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서 중국산 상품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고, 중국 당국이 이동 통제와 격리, 대규모 검사 위주의 ‘제로(0) 코로나’ 정책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신규 투자나 고용을 늘리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왕타오 UBS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하반기 중국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등 강도는 2020년보다 약할 것”이라고 했다. 취훙빈 홍콩상하이은행(HSBC)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도 경제관찰보 기고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반복해서 감염 사태를 일으키는 것을 제외하고도 현재 중국은 스태그플레이션(불황 속 물가 상승) 우려와 투자·소비 감소, 부동산 침체 등 ‘3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2020년 우한 사태 때보다 경기 회복이 더딜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침체는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
지난해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25.3%에 달하는 우리나라는 중국의 경기 둔화로 인한 충격을 피하기 어렵다. 1994년 9월부터 올해 4월까지 월별 기준으로 28년간 흑자 행진을 이어온 대중 무역수지는 올해 5~6월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을 정도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 품목의 88%가 중간재이기 때문에 중국의 코로나 봉쇄에 따른 전국적인 생산 중단으로 타격을 받았다. 이달 들어서도 10일까지 수출액(34억6500만달러)보다 수입액(43억900만달러)이 커서 3개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할 위기다. 봉쇄 후 조업 정상화에 시간이 걸리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인후이성 등지에서 전염력이 강한 오미크론 하위 변이종 BA.5가 발견되는 등 집단감염이 시작되면서 봉쇄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상하이시에서도 최근 노래방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삼성전자 공장이 있는 산시성 시안이 최근 시 전역 임시 통제에 들어갔고, SK하이닉스 공장이 있는 장쑤성 우시에서도 집단감염이 확산해 하이닉스 공장 체육관에는 봉쇄에 대비한 텐트가 설치됐다. 게리 라이스 IMF 대변인은 14일(현지 시각) 브리핑에서 “더 많은 부양책이 성장률 둔화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중국의 더 적극적인 재정·금융정책을 촉구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그간 내수를 활성화를 통해 경제를 안정시키고, 분배에 방점을 둔 공동부유(共同富裕)를 추진하겠다고 해왔다. 하지만 ‘5.5% 내외’라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조차 이루기 어려워지면서 시진핑표 방역·경제 정책에 대한 불만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 중국 정부가 경제성장 목표를 제시 안 한 적은 있지만 발표한 성장률을 지키지 못한 적은 없었다. 올가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은 확정적이라는 분석이 많지만 민심에 따라 최고지도부 구성 등에서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대표적 패밀리 레스토랑 TGIF, 재정난에 파산보호 신청
- “무릎 걱정이 많죠?” 매출 1000억 갔던 용산 터줏대감이 만든 것
- 먼지 자동으로 비우고 물걸레까지, 평점 4.8 로봇 청소기 20만원 대 특가
- 30만원대 노트북으로 시장 파란 일으킨 한국 기업
- 최근 기록 90개까지 저장되는 자동 혈압계, 3만원대 특가
- “북한의 미사일 중동 수출을 막아라” 모사드가 평양에 날아갔다
- 北 러시아 파병할 때 韓中 관계 복원해야
- 껍찔째 아삭, 노란 사과 ‘시나노 골드’의 특별한 맛
- 바이든 ‘쓰레기’ 발언 수정한 백악관 ‘내분’…공보국·속기사들 충돌
- “北파병, 글로벌 분쟁화 가능성…美, 아시아 대응 조율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