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 주가 불안..'빅스텝' 또 부추긴다

김정우 기자 2022. 7. 14. 20: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다시 금리를 많이 올릴 수 있다는 소식에 우리 금융당국은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환율도 따라서 같이 뛸 수 있고, 특히 우리나라보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지면 국내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돈을 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중앙은행이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더 올리면, 달러 값도 따라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크기 때문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다시 금리를 많이 올릴 수 있다는 소식에 우리 금융당국은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환율도 따라서 같이 뛸 수 있고, 특히 우리나라보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지면 국내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돈을 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김정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원·달러 환율은 열흘 가까이 1천300원 위에 머물고 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이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금리를 더 올리면, 달러 값도 따라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크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른 상태에서 수입 가격이 더 뛰게 돼 국내 물가를 더 올려놓게 됩니다.

국제 유가와 환율이 각각 10%씩 오르면 수입액이 3.6% 늘어나면서 무역 적자를 키운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에너지 수입이 전체 수입의 18% 정도 되는데 그중에 11%가 유류고요. (물가는) 정점 이후에 급속히 낮아질 가능성보다는 완만하게 떨어져서 높은 물가 수준이 유지될 가능성이 당분간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미국이 우리보다 높은 '금리 역전 현상'도 걱정입니다.

2주 뒤에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0.75%포인트 올리면 0.25%포인트 차이로, 1%포인트 올리면 0.5%포인트 차이로 미국 금리가 더 비싸집니다.

이전에 금리 역전이 벌어진 시기가 크게 세 번이 있었는데, 최근 두 번의 경우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각각 260억 달러, 83억 달러씩 한국 주식을 팔고 떠났습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우리나라 통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단 부분은 우리나라 자산시장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시장 불안을 통해 실물경제 상황에도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제(13일) 한국은행은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올해는 0.25%포인트씩만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미국 상황이 예상과 달리 돌아가면서 고민은 더 깊어지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 영상편집 : 정용화)

▷ 미국 물가 상승 9%도 넘었다…'울트라 스텝' 무게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823522 ]
 

김정우 기자fact8@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