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급등 막자..32개국 외환보유액 올 들어 790조원 급감

최정희 2022. 7. 14. 16: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금융센터 보고서
32개국 외환보유액 11.9조달러→11.3조달러로 축소
올 들어 달러화 대비 10% 이상 약세 국가 17개
62개국 중 32개국 외환보유액 IMF 적정성 평가 미달
역환율 전쟁에 '외환보유액 급감 우려' 커질 수도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올해 들어 고물가와 미 달러화 강세에 환율이 급등하면서 달러 순매도 개입에 나서는 나라들이 많아졌다. 그로 인해 외환보유액이 급감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가 14일 발간한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외환시장 개입 현황과 시사점’이라는 자료에 따르면 주요 39개 통화 중 국제통화기금(IMF)에 5월까지 자료를 공개한 32개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이 작년말 11조9000억달러에서 올 5월말 11조3000억달러로 6000억달러(약 790조원) 급감했다.

(출처: 국제금융센터)
이들 나라의 외환보유액 통화 구성이 전 세계 외환보유액 통화 구성(IMF COFER)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이 기간 가치 변동에 의한 감소분은 2800억달러로 집계됐다. 나머지 감소액 3200억달러 가량에는 국채 투자 관련 이자수익도 있지만 외환시장 개입을 위한 달러 순매도도 상당 규모 포함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선경 연구원은 “비(非)달러화 통화들이 약세를 보임에 따라 미 달러화 환산액 감소가 컸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외환보유액 감소폭은 비교적 큰 편”이라며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 외환시장 개입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주요 39개국 통화 중 올해 들어 미 달러화 대비 강세를 보인 통화는 고작 5개에 불과했다. 달러인덱스는 20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7개 통화는 달러화 대비 약세폭이 10% 이상에 달했다. 작년 주식, 채권 등 여타 시장에 비해 변동폭이 제한적이었던 외환시장 변동성 지수(CVIX)도 작년말 6.11에서 이달 12일 현재 11.35로 85.8%나 급등했다.

다만 선진국보다는 신흥국에서 외환시장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뤄졌다. 홍콩, 싱가포르,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다수 아시아 국가들이 외환 순매도 개입을 단행한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싱가포르는 3월 미국 금리 인상 이후 5월까지 800억달러 가량의 달러 순매도 개입이 이뤄졌고 태국은 200억달러 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올 1분기(1~3월) 83억달러의 순매도 개입이 이뤄졌다.

김 연구원은 “선진국의 주된 시장 개입 목적은 물가안정이고 신흥국은 특정 환율 수준을 타게팅하기 보다는 과도한 환율 변동성을 완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 선진국은 대체로 현물환 시장에서 달러를 사고 팔면서 개입을 하지만 인도, 브라질, 체코, 콜롬비아 등 신흥국에선 현물환 시장에서의 개입 뿐 아니라 선물환, 선물, 스와프, 옵션 등 다양한 파생상품까지 동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물환 시장과 스와프 시장을 통해 주로 개입이 이뤄진다.

(출처: 국제금융센터)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자국통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수입물가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역환율 전쟁이 본격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과거 수출경쟁력 제고와 이를 통한 경기부양을 위해 각국이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 가치를 절하시키는 환율 전쟁과 달리 역환율 전쟁은 고물가 시기에 물가안정을 위해 자국 통화 약세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말한다.

김 연구원은 “아직까지는 과도한 환율 변동성 완화 목적의 외환시장 개입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글로벌 고인플레 환경 속에서 강달러 현상이 심화될 경우 역환율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물가안정을 위한 시장 개입 과정에서 각국의 외환보유액이 우려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수준까지 감소할 경우 또 다른 환율 불안이 야기될 수 있음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올 4~5월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필리핀, 콜롬비아 등 다수 중앙은행들의 외환보유액은 202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0년 IMF의 외환보유액 적정성 평가에서 62개국 중 32개국의 외환보유액이 적정규모인 100~150%에 미달하기도 했다.

최정희 (jhid02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