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국격 다친다며 3년 전 靑, 강제 북송 이후 유엔 조사 막아

김유빈 2022. 7. 13. 19:21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강제 북송 사건은 당시 국제사회에서도 인권 침해라는 문제제기가 있었습니다.

유엔이 한국을 방문해서 실태조사를 벌이려다 무산되기도 했는데요.

이제 와서 보니, 당시 청와대가 유엔이 방문하면 협조하지 말라는 취지의 의견을 관련 부처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의혹의 중심에 서훈 국가안보실장 이름이 또 등장했습니다.

김유빈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2019년 11월 탈북 어민 강제북송 이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실태조사를 위해 방한하려 했지만 무산됐습니다.

방한 무산 이유와 관련해 여권에서는 당시 청와대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강제북송 이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외교안보부처 회의 때 킨타나 보고관 방한건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훈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유엔에서 인권문제를 거론하면 한미관계나 국격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로 말했고, 이 발언은 관련 부처에 전달됐다고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이 주장했습니다.

한 정부 소식통은 "국가안보실장이 이렇게 얘기하면 일선 외교안보부처는 '절대 협조금지'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킨타나 보고관은 사건 관련 정부 당국자들과의 면담 일정을 잡지 못해 방한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이주영 /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20년 1월)]
"지난 연말 방한하여 탈북선원 강제북송 문제를 조사하려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방한이 무산된 점에 강력한 유감을 표하며"

킨타나 보고관은 2019년 1월과 6월 두 차례 한국을 방문했지만 그해 11월 강제북송이 발생한 이후에는 2년 넘게 방한하지 못했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한 해명을 듣기 위해 서훈 전 실장에게 연락을 취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

영상취재 : 이 철 정기섭
영상편집 : 김민정

김유빈 기자 eubini@dong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