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국격 다친다며 3년 전 靑, 강제 북송 이후 유엔 조사 막아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제 북송 사건은 당시 국제사회에서도 인권 침해라는 문제제기가 있었습니다.
유엔이 한국을 방문해서 실태조사를 벌이려다 무산되기도 했는데요.
이제 와서 보니, 당시 청와대가 유엔이 방문하면 협조하지 말라는 취지의 의견을 관련 부처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의혹의 중심에 서훈 국가안보실장 이름이 또 등장했습니다.
김유빈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2019년 11월 탈북 어민 강제북송 이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실태조사를 위해 방한하려 했지만 무산됐습니다.
방한 무산 이유와 관련해 여권에서는 당시 청와대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강제북송 이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외교안보부처 회의 때 킨타나 보고관 방한건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훈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유엔에서 인권문제를 거론하면 한미관계나 국격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로 말했고, 이 발언은 관련 부처에 전달됐다고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이 주장했습니다.
한 정부 소식통은 "국가안보실장이 이렇게 얘기하면 일선 외교안보부처는 '절대 협조금지'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킨타나 보고관은 사건 관련 정부 당국자들과의 면담 일정을 잡지 못해 방한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이주영 /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20년 1월)]
"지난 연말 방한하여 탈북선원 강제북송 문제를 조사하려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방한이 무산된 점에 강력한 유감을 표하며"
킨타나 보고관은 2019년 1월과 6월 두 차례 한국을 방문했지만 그해 11월 강제북송이 발생한 이후에는 2년 넘게 방한하지 못했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한 해명을 듣기 위해 서훈 전 실장에게 연락을 취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
영상취재 : 이 철 정기섭
영상편집 : 김민정
김유빈 기자 eubini@dong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