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보단 할인에 치중..위기의 '지역 화폐'

진희정 2022. 7. 12. 21: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청주] [앵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자치단체에서 잇따라 지역화폐를 도입해 소비 촉진에 나섰는데요.

최근 예산 소진으로 할인 혜택이 줄면서 사용량이 급감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주 골목상권에서 사용하는 지역 화폐, '청주페이'.

최근 10% 환급 혜택이 중단되면서 하루 17억 원에 달했던 충전 금액이 1/10로 뚝 떨어졌습니다.

[이규화/'청주페이' 사용자 : "불편해요, 솔직히. (할인이) 안 되니까 안 쓰죠. 다른 카드를 쓰게 되는 거지."]

정부 지원이 줄면서, 전국 지역 화폐 대부분이 비슷한 처지에 놓였습니다.

제주시의 '탐나는 전'과 광주시의 '광주상생카드'는 할인 판매를 중단했고, 전주시의 '전주사랑상품권'도 1인 구매 한도를 줄였습니다.

이 같은 상황은 자치단체마다 지역 화폐 충전 금액에 얼마나 웃돈을 얹어줄지 현금성 지원에만 치중하면서, 어느 정도 예견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 지역 화폐의 시작은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마을 경제를 살리기 위해 만든 대안 화폐였습니다.

할인 혜택은 없지만, 지역 공동체를 살린다는 '상생 소비'를 바탕으로 꾸준한 이용량을 보였습니다.

[임연미/대전 '한밭페이' 가맹점주 : "수수료 2%는 마을에 기부가 돼요. 가맹점만 돼도 좋은 일을 할 수 있겠구나, 마을에."]

때문에 금전적 혜택보다 공동체를 위한 '상생 소비'와 편의성 확대를 내세운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보현/지역화폐협동조합 사무국장 : "계속해서 소비 진작으로만 힘을 썼기 때문에 공동체를 살리는 경험들을 소비자들도 할 수 없었던 부분들이 (아쉽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잇따라 도입된 지역화폐가 예산 소진 위기 속에 존폐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박소현

진희정 기자 (5w1h@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