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치땐 췌장암 발병률 18배..급성·만성 증상도 치료도 달라
호르몬 분비·소화 돕는 췌장
내외분비 담당 중요한 장기
알코올이 세포 손상의 원인
복부통증 심하면 의심해봐야
급성 췌장염
외분비기능 손상 소화효소 활성화
부종·출혈·전신염증 반응까지
수액 공급·금식 등으로 회복돼
만성 췌장염
췌장이 돌처럼 딱딱하게 섬유화
세포 손상으로 근본적 회복불가
통증 해소·증상 완화 시술 필요
방치 땐 췌장암까지..예방 중요
췌장염은 만성 염증이 되면 췌장암 발병 위험이 일반인보다 18배까지 높아질 수 있다. 조인래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의 도움을 받아 췌장염의 원인부터 예방법까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해 알아봤다.
급성 췌장염은 췌장 외분비 기능의 손상으로 소화효소가 조기 활성화함으로써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췌장 내에서 활성화된 소화효소가 췌장과 주변 조직을 공격하면 부종·출혈·괴사가 일어나고, 전신 염증 반응과 다발성 장기부전까지 유발할 수 있다. 반면 만성 췌장염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췌장이 돌처럼 딱딱해지는 섬유화가 일어나고, 내분비·외분비 기능 모두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섬유화가 계속되면 췌장 세포가 비가역적으로 손상된다. 따라서 어떤 치료법으로도 췌장 기능을 근본적으로 회복할 수 없다.
알코올(술)은 췌장 세포에 직접적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급성·만성의 구별 없이 췌장염의 주요 원인이다. 실제로 알코올은 만성 췌장염 발병 원인의 60%, 급성 췌장염 발병 원인의 30~60%를 차지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췌장염'도 급성·만성 구별 없이 발병 원인의 10%가량을 차지한다.
간혹 원인을 알 수 없는 반복적인 급성 췌장염이 나타나면 검사를 통해 유전성·자가면역성 췌장염은 아닌지, 선천성 췌관 기형이나 숨겨진 췌장암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급성 췌장염의 주요 원인으로 '담석'도 있다. 담석이 담췌관 말단 부위인 오디괄약근에 박혀 췌장액 배출을 막으면 고여 있는 췌장액이 췌장 세포를 손상시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한다.
급성 췌장염의 대표 증상은 심한 상복부 통증이다. 췌장이 등쪽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숙일수록 등과 복부 사이 공간이 넓어져 비교적 통증이 완화된다. 그 밖에도 염증반응에 의한 발열, 오한, 오심·구토 증상이 동반될 수 있고, 중증인 경우 의식저하나 호흡곤란이 오기도 한다. 대표적인 만성 췌장염의 증상도 복부 통증이다. 췌장이 섬유화하면 췌관 내부 압력이 높아지며 췌장액이 잘 분비되지 않아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이 몇 주에서 몇 개월간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며, 한 번 발생하면 수일간 지속되는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만성 췌장염으로 외분비 기능이 80% 이상 소실되면 영양소 흡수장애가 발생한다. 특히 지방 흡수가 어려워져서 지방변을 볼 수 있다. 내분비 기능까지 저하되면 공복혈당장애 및 당뇨가 발생하는데 이는 체중 감소를 유발하기도 한다.
급성 췌장염은 △상복부 통증 △정상 상한치 3배 이상의 혈중 췌장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CT 등 영상 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 중 2가지가 있을 때 진단할 수 있다. 만성 췌장염의 전형적 징후는 △췌장 석회화 △지방변 △당뇨 등이며, 환자 중 3가지 증상이 모두 있는 경우는 3분의 1에 그친다. 따라서 질환이 의심될 경우 추가적으로 복부초음파나 CT, MRI 등의 영상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급성 췌장염은 발병 원인에 따라서 다른 치료법을 실시한다. 음주에 의해 발병했으면 금주를, 담석 때문이라면 담낭절제술을, 혈중 지방농도가 높은 경우 이를 낮추는 약물 치료가 시행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급성 췌장염은 수액을 충분히 공급하고 췌장의 휴식을 위해 금식을 유지하는 보존적 치료만으로 대부분 회복이 가능하다.
만성 췌장염은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적 치료가 이뤄진다. 주로 통증 조절, 소화효소 보충, 당뇨병 및 제반 합병증 치료가 있다. 통증이 진통제로 해결할 수 없을 만큼 심하면 신경차단술이나 췌관의 폐쇄를 해소하기 위한 내시경시술, 외과적 수술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급성 췌장염 환자 중 10~20%는 중증 췌장염이 나타나 다발성 장기부전(쇼크, 저산소증, 신장 기능 저하)이나 괴사 등의 합병증이 동반된다. 이 경우 수액을 공급해 혈류량을 유지시켜 쇼크와 장기 기능 악화를 막고, 항생제 투여로 2차 감염을 방지하도록 한다. 급성기 증상이 소실된 후에도 고여 있는 염증물이나 괴사조직이 가성 낭종(물혹)·농양·구역성 괴사 등의 형태로 남을 수 있다. 이는 2~3개월 이후 자연스럽게 체내로 흡수된다. 그러나 통증이나 감염, 위장관 폐쇄가 일어나면 내시경이나 영상중재시술을 통한 배액술이 필요하다.
췌장염을 예방하려면 금연 및 금주, 채소와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는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조인래 교수는 "급성 췌장염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면 섬유화가 점점 진행돼 췌장 기능을 다시 회복할 수 없는 만성 췌장염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췌장염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일상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급성·만성 췌장염 예방법 중 가장 확실한 것은 금연·금주다. 또한 기름진 식사는 피하고 채소와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엄마가 네 나이 때 보던 만화야"…자녀와 추억 바캉스
- 소비자 지켜주던 `라식 보증서`…갑자기 사라진 이유는
- [중기 info] 어린이부터 청년까지…교원그룹, 미래 주역에 통큰 디딤돌役 빛났다
- [중기 info] 세라젬, 루게릭병 환우 돕기 `아이스버킷 챌린지 런` 후원
- [중기 info] 이름 바꾸고 새옷 입고…MZ세대에 러브콜 보내는 中企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고려아연 ‘유증 폭탄’ 자충수 되나
- ‘삼남매 母’ 율희, 최민환 ‘성매매 의혹’ 폭로→양육권·위자료 소송 제기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