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 붓고도 고용창출 낙제.. '뜨거운 감자'된 주 52시간제 [심층기획]
근로자 1명당 月 최대 80만원 지원해
자금·인력난 中企에 '땜빵 인력' 수혈
4년간 고용유지율 89.6% 성과 냈지만
고용증감 15.9%.. 평균比 10%P 낮아
경영계 "업무 효율 낮은데 비용만 증가"
정부, 주 52시간제 개편 하반기 구체화
노동계 "새 정부가 제도 무력화" 비판
"대화 통해 접점 찾아야 윈윈" 지적도
노동계에선 결사반대 기류가 강하다. 특히 주 52시간 근무제 개편을 두고 새 정부가 사실상 제도 무력화에 나섰다며 집중적인 비판을 쏟아 내고 있다. 반면, 경영계 등 일각에선 문재인정부 때인 2018년 도입한 이 제도가 기업들의 업무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각종 사회·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등 부작용이 적잖다고 지적한다.
11일 세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및 정착을 위해 최근 4년 동안 1000억여원에 이르는 지원금을 지급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주 52시간 근무제 실시를 위한 교대제 근무 도입 등 고용 유지에 쓰인 돈인데, 일자리 창출 효과는 고용장려금 사업 평균에 한참 못 미쳤다. 이 때문에 해당 사업의 정부 자체 평가는 최근 2년 연속 ‘낙제점’이었다. 막대한 보조금으로 겨우 지탱해 온 주 52시간 근무제를 궤도에 오를 때까지 끌고 가야 할지, 전면 손질에 나서야 할지가 한동안 노사갈등의 뇌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녁이 있는 삶’, 유지비용만 연간 300억원
정부는 기존의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에 2018년 7월 ‘주 근로시간 단축제’ 지원 유형을 신설했다. 주 52시간 근무제 신규 적용 기업에 근로자 1명당 최대 월간 80만원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그간 신규 근로자 채용에 따른 인건비 지원 등으로 활용됐던 제도를 주 52시간 근무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탈바꿈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기업들의 고용 유지 효과는 있었지만, 지원금을 마중물로 한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에는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지원을 받기 전과 비교해 1년 새 일자리 수 변화를 가리키는 고용증감률은 15.9%로, 전체 평균 24.5%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어쩔 수 없이 쪼개기 일자리를 만들었지만, 이를 지원금을 통해 유지하는 것 외에는 뚜렷한 고용 효과가 없었던 것이다.
정부도 자체 평가에서 낮은 고용증감률을 지적했다. 고용부는 지난해 2020년도 일자리 사업성과 평가 보고서에서 일자리 함께하기 사업에 대해 “고용유지율에 비해 고용증감률이 낮은 편”이라고 언급하며 네 가지 평가 등급 중 2번째로 낮은 ‘개선 필요’ 판정을 내렸다. 고용부에 따르면 2021년도 일자리 사업성과 평가에서도 같은 등급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이 사업성과 평가를 사업별로 공개한 2020년부터 2년 연속 좋지 못한 평가를 받은 것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앞으로 예산을 예년보다 줄이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며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까지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기싸움만 하세월… “노사, 터놓고 해결책 찾아야”
결국, 노사 간 타협과 공감대 형성 없이는 현장 혼란만 가중될 공산이 크다.
관련 설문조사에서도 양측의 인식 차는 뚜렷하게 드러난다. 지난해 10월 중소기업중앙회가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중소·중견 기업 414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응답 기업의 54.1%가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구인난’이 52.2%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고용부가 근로자 1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77.8%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잘한 일로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노사가 극한 대립에서 벗어나 대화와 타협을 통해 접점을 찾아야 노사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연장근로는 근로자의 동의 없이는 시간을 늘릴 수 없는데도 무조건 한쪽에 불리한 것처럼 비치고 있다”며 “사회적 합의기구에서 굵직한 노사단체뿐 아니라 다양한 기업과 근로자의 목소리도 담아내 접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길상 전 한국고용정보원장은 “무조건적인 비판 논리만 내세우면 노사 모두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 있다”며 “일자리 창출과 삶의 질 개선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세우고 대화하면 타협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고 강조했다.
안병수 기자 ra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박지윤 최동석 향한 이혼변호사의 일침…"정신 차리세요"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