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늘어도 고민, 줄어도 고민..인구의 날

임동근 2022. 7. 11.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세계 인구 80억 명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습니다.

바로 얼마 전에 70억 명을 넘은 것 같은데 언제 이렇게 늘었을까요? 인구 증가 속도가 정말 빠른 것 같네요.

오늘은 세계 인구의 날입니다. 환경 파괴, 자원 고갈, 식량난 등 인구 폭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심각성을 환기하고자 1987년 유엔개발계획(UNDP)이 지정했죠.

인구 증가 속도 얼마나 빠를까?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구축한 데이터 사이트 '아워 월드 인 데이터'(Our World in Data)에 따르면 서기가 시작됐을 때 지구 인구는 1억9천만 명쯤 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1803년에 10억 명이 됐고, 125년 후인 1928년에 20억 명을 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인구는 1960년 30억 명, 1975년 40억 명, 1987년 50억 명, 1999년 60억 명, 2011년 70억 명을 돌파했죠.

이렇듯 20세기 초에 20억 명이던 세계 인구는 약 한 세기 동안 3배 이상으로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세계 인구는 2024년 80억 명, 2038년 90억 명, 2056년 100억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증가 속도는 늦춰지겠지만 인구는 여전히 늘어난다는 거죠.

인구가 증가하면 어떤 문제 나타날까?

인구 증가는 한정된 지구 자원의 고갈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인구가 계속 늘면 1인당 소비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은 감소하는 반면, 수요는 계속 늘어나기 때문이죠.

식량, 물, 에너지, 주거지와 농경지 등이 부족해지고 환경오염이 빠르게 진행돼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관련 전문가들은 산림 축소, 어장 붕괴, 사막화, 토양 침식, 기후변화도 인구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물 사용량이 증가하며 세계 곳곳에서 지하수면이 낮아지기도 하죠.

인류가 1년간 소비하는 자원의 양이 지구가 생산할 수 있는 자원 공급의 양을 지난 2016년 8월 8일 이미 초과했다는 세계자연기금(WWF)의 발표도 있었어요.

많은 이들이 인구 증가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우려하지만 한편에서는 과학기술의 발전, 적절한 자원 분배와 이용을 통해 늘어나는 인구를 지탱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날'…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세계 인구의 날이 인구 증가의 심각성을 경고하기 위해서라면, 우리나라 '인구의 날'은 저출산과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제정됐습니다.

정부는 2011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2005년 제정)을 개정해 7월 11일을 '인구의 날'로 정하고 출산 장려 분위기를 조성해오고 있죠.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 5천183만6천 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이후 지난해 5천174만5천 명, 올해 5천162만8천 명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인구 감소의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저출산이죠. 인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만나 2.1명을 출산해야 합니다. 태어난 자녀가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저출산은 여성이 평생 출산하는 자녀의 숫자(합계출산율)가 인구 대체 수준인 2.1명보다 낮은 것을 뜻합니다. 일본, 미국, 독일 등의 주요 선진국들도 겪고 있는 현상이죠.

2021년 유엔인구기금(UNFPA)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1명으로 198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해 세계 평균(2.4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인구가 감소하면 어떤 문제 생길까?

저출산은 보통 고령화와 함께 나타납니다. 높은 의료 수준으로 노인의 수명은 연장되지만, 젊은 세대는 저출산으로 감소하기에 노인의 비율이 증가하는 거죠.

노인을 부양하기 위한 의료, 복지 등 각종 사회적 비용의 증가는 인구가 감소하는 젊은 세대에 큰 부담이 됩니다.

경제도 위축됩니다. 인구가 줄어들면 생산과 소비가 감소하면서 고용이 둔화하고 잠재성장률도 떨어질 수 있죠. 정부는 세수가 감소하고 고령화로 지출이 늘면서 재정수지가 악화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 감소로 2032년부터 필요한 현역 병역 자원이 부족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 적도 있죠.

우리 정부는 최근 인구위기대응 태스크포스(TF)를 띄워 인구감소 속도 완화와 성장 잠재력 약화 방지 등을 위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임동근 기자 장진아 인턴기자 이지원 크리에이터

dkl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