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쩍 늘어난 서핑 인구에 급증하는 환자들..'안전' 주의

조재근 기자 2022. 7. 9. 20: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원 동해안 해수욕장이 3년 만에 노마스크 해변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본격적인 여름 피서철을 맞아 부쩍 바다에서 서핑하는 분들 많이 볼 수 있는데요.

6년 전 불과 5만 명도 안 되던 양양의 서핑 인구는 지난해 7배가 넘는 36만 명까지 늘었습니다.

서핑 인구가 증가한 만큼 서핑으로 인한 사고 환자도 늘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강원 동해안 해수욕장이 3년 만에 노마스크 해변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본격적인 여름 피서철을 맞아 부쩍 바다에서 서핑하는 분들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즐기는 것도 좋지만 안전사고에 유의하셔야겠습니다.

조재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말을 맞은 양양의 한 해변, 서핑 명소답게 서퍼들이 몰렸습니다.

밀려오는 파도에 맞춰 재빠르게 올라타 시원하게 미끄러집니다.

6년 전 불과 5만 명도 안 되던 양양의 서핑 인구는 지난해 7배가 넘는 36만 명까지 늘었습니다.

[정성애/서핑객 : 바다 파도 위에서 둥둥 뜰 수 있으니까 시원한 탁 트인 풍경도 보고, 스트레스가 좀 풀린다고 해야 할까요?]

서핑 인구가 증가한 만큼 서핑으로 인한 사고 환자도 늘고 있습니다.

강원 영동권의 응급의료센터인 강릉아산병원 응급실에는 지난 6년 동안 674명의 서핑 환자가 찾았습니다.

한 해 평균 112명으로, 타박상이나 염좌 같은 가벼운 부상도 많지만 보드나 핀에 맞아 얼굴이나 팔다리가 찢어지는 열상 환자도 40%에 달했습니다.

심할 경우 허벅지를 길이 10cm, 깊이 3cm 정도 베이기도 했습니다.

[허석진/강릉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깨끗한 물로 세척을 하시고 환부를 다른 걸로 소독하지 마시고 그냥 거즈나 깨끗한 수건으로 꼭 눌러서 지혈해가지고 응급실에 오시면 됩니다.]

손가락이나 발가락, 발목 등에 골절을 당한 환자가 80명, 고막이나 귀를 다친 환자가 25명, 척수 손상을 입은 경우도 7명 있었습니다.

익수 환자도 11명 발생했는데 이 가운데 2명은 목숨을 잃었습니다.

[박준영/양양군 서핑협회장 : 물에 빠지시면 나오실 때 머리를 꼭 감싸고 나오셔서 내가 보드에 맞지 않게 하셔야 하고요. 다음에는 먼저 보드를 찾아서 보드를 잘 잡고 계셔서 내 보드가 남이나 나를 때리지 않게 (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충분한 사전 교육을 받은 뒤 자신의 실력에 맞는 파도를 타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영상취재 : 허 춘, 영상편집 : 이소영)

조재근 기자jkcho@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