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인상이 인플레 부추겨? 그럼 제 생활비는요" [데이:트]

임소연 기자, 유효송 기자 2022. 7. 9. 09: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월 소비자물가동향이 발표된 5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영수증을 확인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0% 올라 1998년도 외환위기 이후 첫 6%대 물가상승률 이다.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무슨 일이 있었나요?
저번주에는 세계 곳곳의 '물가쇼크' 상황을 짚어봤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죠. 지난달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기록했어요. 이런 와중에 내년 최저임금이 전년 대비 5% 오른 시간당 9620원으로 책정됐어요.
인플레이션이 최악으로 치닫는 상황이다 보니 임금 인상과 관련해 노동자와 사용자 입장이 첨예하게 갈립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지난 5일 "물가상승률조차 따라가지 못하는 수준"이라며 최저임금 이의제기에 나섰어요. 생활물가가 가파르게 뛰는 데 반해 임금상승률은 낮다는 거죠. 반대로 경영계 단체인 소상공인연합회는 물가 등을 고려해 최저임금 인상률이 과도하다며 맞서고 있어요. 임금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부추긴다는 우려도 계속 제기되고요. 이번주 [데이:트]는 물가와 임금을 둘러싼 갈등을 들여다 봅니다.
들여다 보면
/사진=뉴스1
일단 정부는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면서 노사에 "과도한 임금 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어요. '임금 인상발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급등한 만큼 임금을 인상하면 기업이 늘어난 인건비를 제품가격에 전가해 다시 물가가 오르는 악순환을 뜻해요.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020년 1월 펴낸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0% 인상됐을 때 전체 임금은 약 1% 상승했고, 이에 따라 물가는 약 0.2~0.4% 오르는 걸로 나타났어요.

그런데 '월급쟁이' 입장에서는 같은 월급을 받아선 오히려 쓸 돈이 줄어드니 할 말이 많습니다. 밥값, 기름값, 집세는 다 오르는데 월급은 찔끔 오르거나 그대로란 거죠. 저물가 시대엔 물가 인상률에 맞춰 임금을 소폭 올리고, 고물가 시대엔 인플레를 더 부추길 수 있으니 또 임금을 동결하라는 거냐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IMF 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6%까지 올랐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물가상승 탓에 한국의 실질임금은 지난해보다 1.8%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물가상승률이 근로자들의 월급 가치를 떨어트린다는 겁니다. 고용노동부 통계를 보면 한국의 실질임금이 감소한 건 지금같은 고물가로 힘들었던 2011년(-2.9%) 이후 11년 만이에요.

특히 소비자들이 많이 구입하는 것들만 모아 지수화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대비 7.4%나 올랐어요. 외식 물가는 지난해 대비 8% 올랐고, 4월에 전기료와 도시가스비가 오르면서 전기·가스·수도 물가도 작년 대비 9.6% 올랐습니다. △경유(50.7%) △휘발유(31.4%) △빵(9.2%) △고기류(10.3%) 등도 모두 비싸졌죠.

고물가가 금리도 끌어올리면서 이자도 늘었어요. 한국은행은 물가 방어를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지금까지 총 네 차례 기준금리를 올렸죠. 한은이 오는 13일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 국민 1인당 이자부담은 최소 연 13만8000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돼요. 은행에 이자를 더 낸 만큼 가계가 쓸 돈은 더 줄겠죠.

상황이 이러니 정부의 '임금 인상 자제' 요청은 결국 임금 노동자들만 희생하라는 것이냐는 비판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요?
다만 모든 임금 노동자의 상황이 같진 않습니다. 일부 대기업들은 올해에도 임금인상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요. 삼성전자는 최근 노사협의회를 통해 2022년 전 사원 평균 임금을 9% 인상하기로 했고, 카카오와 네이버는 임직원 연봉 총액을 각각 15%, 10% 올리기로 했습니다. LG그룹 계열사도 임직원 평균 임금을 8~10% 인상할 방침이고요.

2019년 말 기준 국내 대기업 종사자는 전체 기업 종사자 중 16% 정도입니다. 중소기업 종사자가 83%를 차지하죠. 이런 구조에서 대기업 위주의 높은 임금 인상은 전체 임금상승률에 착시를 일으킬 수 있어요. 통계청 '2020 임금근로 일자리 소득 결과'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 직장인의 월평균 소득은 259만 원으로 대기업(529만 원)의 절반에도 못 미쳐요.

물가 상승은 모든 유리지갑 월급 생활자들에게 부담입니다. 다만 부담의 정도가 다르다는 것이죠.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맞닥뜨린 지금 임금 인상 필요성에 대해선 많은 임금 노동자가 공감할 거예요. 다만 일부에 치우친 과도한 임금 인상은 물가 상승에 더 취약한 노동자에게 더 큰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적정선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관련기사]☞ 티아라 출신 한아름, 이혼 위기 극복→둘째 임신오은영에 침 뱉고 손 물고 '돌발행동'…초1 금쪽이둘째 아들 아베 총격에 '쇼크'…"94세 노모, 정신착란"송지효, 숏컷 이유 최초 공개 "술 마시고 내가 잘라"하루 5000만원씩 벌던 개그맨 이재훈, 귀촌한 사연
임소연 기자 goatlim@mt.co.kr,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