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 걸린 신보 차기 이사장 인선.. 역대 다수는 관료 출신
중소기업 자금 지원을 주관하는 정책금융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의 차기 이사장을 뽑는 작업에 시동이 걸렸다.
그동안 공공기관장 인선 절차가 시작하면 하마평이 나오기도 했지만, 아직 신보 이사장 주요 후보군은 거론되지 않고 있다. 기관 안팎에서는 역대 이사장을 감안하면 경제 관료 출신이 새 이사장으로 올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인데, 일각에서는 정계 및 민간 출신이 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7일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에 따르면, 후보자 공개 모집을 통해 지원서를 오는 12일까지 받을 예정이다. 신보 임원추천위원회는 지원자를 대상으로 서류 심사와 면접 심사를 거쳐 여러 후보자를 추린다. 이어 금융위가 최종 후보를 선정·제청해 대통령이 최종 임명한다.
이번 인선 작업은 다소 지연됐다. 지난 4년간 신보를 이끌어온 윤대희 이사장의 당초 임기는 지난달 4일까지다. 임기 만료를 앞두고 차기 수장을 뽑기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해야 했지만, 김주현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임명이 더뎌지면서 윤 이사장의 활동 종료와 신보를 비롯한 공공기관장 인선 작업도 밀리는 상황이 됐다는 게 업계 얘기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신보 이사장의 임명 제청 권한을 가진 금융위원장의 임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보니 금융위 산하 공공기관의 인선 작업도 덩달아 속도를 내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신보 차기 이사장 후보에 관한 하마평은 아직 나오지 않는 상황이다. 다만 그간 역대 이사장을 고려하면, 기획재정부 등 경제 관료 출신이 될 것이란 관측이 기관 안팎에서는 우세한 분위기다.
1976년 설립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당시 재무부, 재정경제부, 기재부, 한국은행 등 경제 관료 출신이 주를 이뤘다. 이종성 14대 이사장은 재경부 국세심판소장을 역임했고, 배영식 15대 이사장과 김규복 16대 이사장은 각각 재경부 기획관리실장을 거쳤다.
반면 윤석열 정부가 이명박 정부의 정책 기조이기도 했던 ‘공공기관 개혁’ 의지를 드러낸 점 등을 감안하면 비(非)관료, 민간 출신이 신보의 새 수장으로 뽑힐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MB정부 때는 경제 관료 대신 정계·민간 인사가 이사장으로 잇따라 임명됐다. 안택수 17~19대 이사장은 3선 국회의원 출신이고, 서근우 20대 이사장은 금융감독위원회에 약 2년간 활동했으나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 하나금융지주 전략담당 부사장, 한국금융연구원 기획협력실장 등 민간 분야 이력이 더 많았다. 황록 21대 이사장은 우리은행과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우리파이낸셜 등의 거친 우리금융그룹 출신이다.
금융 공공기관장 자리는 이사장 후보 선임 방식과 이사장 개인 이력 등으로 인해 ‘모피아’, ‘코드 인사’ 논란이 잇따른 바 있다.
지난 2018년 2월, 황록 당시 신보 이사장이 임기가 1년 8개월 이상 남은 상황에서 돌연 사의를 표명하면서 정부 고위 관료 내정설이 돌았다. 이후 윤대희 이사장이 그해 6월부터 신보를 이끌었다. 윤 이사장은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경제정책수석을 거쳐 국무총리실의 국무조정실장으로 재직했고,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 경제정책 자문단으로 참여했다.
윤 이사장은 1949년생으로 인천 제물포고, 서울대 경영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거쳐 미국 캔자스대에서 경제학 석사, 경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17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직생활을 시작한 뒤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관과 경제정책수석비서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지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임명된 안택수 전 이사장은 15~17대 국회에서 재정경제위원회와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이명박 대통령의 대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는데, 이후 신보 이사장 후보로 추천되면서 인사 논란이 있었다.
한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금융 공공기관장 자리는 낙하산, 코드 인사 논란을 겪었다”면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급증한 금융 지원 보증의 대출 부실 위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전문성과 능력을 갖춘 수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사장의 최초 임기는 3년이며 1년 단위로 연임할 수 있다. 공공기관법에 따르면 연임할 때는 임원추천위원회 추천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신보는 대기업 위주의 급속한 경제성장이 이뤄지던 시기 정부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던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1976년 6월 1일 출범했다. 설립 이후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1000조원 규모의 보증을 공급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기차 1위’ 中 BYD, 이달 국내 상륙… 현대차, 안방 사수 비상
- 벌금·과태료 더 걷고, 직원할인 혜택에도 과세… 내년 세수 쥐어짜기 나선 정부
- “한강변 단지도 안 팔려”… 고분양가에 미분양 쌓이는 강동구
- 방산 수출 때 국회 동의 받으라는 민주당… 업계 “수출에 찬물”
- 롤드컵 5회 우승에도 ‘T1’은 만년 적자… 선수 연봉 오르는데 수익 모델 없어
- [사이언스카페] 솔로는 우울증 위험 80% 높다
- 11월도 ‘공모주 수퍼먼스’인데… 새내기株 연속 흥행 참패에도 계속되는 뻥튀기 공모가
- 삼성전자, 中 반도체 공장 노후장비 매각 시동… “방안 모색 초기 단계”
- 40주년 앞둔 쏘나타, 얼굴 바꾸니 美 판매량 급증
- [단독] 14년 우여곡절 끝에 운항 멈춘 한강 유람선 아라호, 8번째 매각도 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