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촌토성서 '삼국시대 목제 쟁기' 출토..국내 최초 사례
우리나라 고유의 구조 확인
쟁기 변천사 연구 중요 자료
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목제 쟁기가 나왔다. 국내에서 삼국시대 목제 쟁기가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5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쟁기 형태를 온전히 유지하고 있어 한국 고대 쟁기의 구조와 변천 연구를 위해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런 내용을 담은 몽촌토성 발굴조사 중간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올해 4월 서울 송파구 몽촌토성 내 집수지(集水地)에서 출토된 이 쟁기는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쟁기와는 다른 우리나라 고유의 구조로 확인된다. 지난 2020년에도 집수지에서 간단한 구조의 목제 쟁기가 출토됐으나 이번 쟁기는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사례와 차별화된다.
이번에 출토된 쟁기는 술·날·손잡이로 이뤄진 일반적인 쟁기 구조에 비녀와 분살이 더해진 형태이다. 날부분의 형태와 크기로 봤을 때 날부분에 끼웠던 보습은 서울 구의동 고구려 보루에서 출토된 보습과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날부분의 볼록 면에는 ‘V’자형 흠이 있어 볏이 ‘V’자형 날개 모양으로 달렸을 가능성이 있다.
쟁기의 전체 길이는 165~170cm, 날 부분은 29cm, 폭은 최대 18cm로 파악됐다. 기존 연구자료에 의하면 이런 형태의 쟁기는 함경도와 중국 연변·연해주 일대에서 쓰이는 쟁기, 일명 ‘가대기’와 동일하다. 집수지는 자연과학적 연대 분석 결과 469~541년 사이 고구려에 의해 축조·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번 목제 쟁기가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고대 쟁기의 구조와 변천 연구를 위해 중요한 자료라고 보고 있다. 박물관은 목제 쟁기를 보존 처리한 후 박물관의 전시·교육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발굴보고서에도 수록해 학계에 연구자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한성백제박물관은 “한국 고대 쟁기 연구를 위한 중요 자료를 확보했다”면서 “목제 쟁기 출토가 고대 농경사회를 유추할 수 있는 농업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강은 기자 ee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실제 축구 경기 중 번개 맞고 선수 사망…‘100만 분의 1’ 확률이 현실로
- [2024 미국 대선] ‘선거 족집게’ 통계학자, 승률 ‘해리스 우위’로 바꿨다
- [종합] 과즙세연♥김하온 열애설에 분노 폭발? “16억 태우고 칼 차단” 울분
- 조정훈 “대통령 열심히 해서 나라 잘 만들어보라는 분들이 대다수”
- 중국 열광시킨 ‘수학천재’ 소녀 씁쓸한 결말
- [2024 미국 대선] 앤디 김 ‘한국계 최초’ 뉴저지주 연방상원의원 당선
- 조경태 “김건희 특검법? 7일 대통령 담화 결과 따라 대응 변동 있을 수도”
- [2024 미국 대선] ‘83세 사회주의자’ 버니 샌더스, 버몬트주 상원 4선 성공
-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장중 89%↑ ‘뜨거운 출발’
- [속보]트럼프 ‘177’·해리스 ‘99’ 선거인단 확보[2024 미국 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