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촌토성서 1500년전 목제 쟁기 첫 출토.."희귀한 사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것으로 추정되는 목제(木製) 쟁기가 나왔다.
삼국시대 목제 쟁기가 출토된 것은 국내 최초로, 150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쟁기 형태를 완전하게 갖추고 있어 매우 드문 사례로 주목된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번에 출토한 목제 쟁기를 보존처리한 후 박물관의 전시·교육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며, 발굴보고서에 수록해 학계에 연구자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4월 몽촌토성 발굴조사 중 집수지 내 목제 쟁기 출토
일본·중국 없는 독특 구조로 함경도 일대 쟁기와 유사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한성백제 유적인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것으로 추정되는 목제(木製) 쟁기가 나왔다. 삼국시대 목제 쟁기가 출토된 것은 국내 최초로, 150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쟁기 형태를 완전하게 갖추고 있어 매우 드문 사례로 주목된다.
한성백제박물관은 7일 사적이자 백제 한성기 왕성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에 대한 발굴조사 중간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에 출토된 쟁기는 술과 날부분, 손잡이로 이뤄진 일반적인 쟁기 구조에 비녀와 분살이 더해진 독특한 형태로, 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쟁기에선 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형태로 확인된다. 특히, 기존 연구자료에 의하면 이런 형태의 쟁기는 함경도와 중국 연변·연해주 일대에서 쓰이는 쟁기, 일명 ‘가대기’와 동일하다.
이번 목제 쟁기 출토는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 고대 쟁기의 구조와 변천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번에 출토한 목제 쟁기를 보존처리한 후 박물관의 전시·교육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며, 발굴보고서에 수록해 학계에 연구자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유병하 한성백제박물관장은 "이번 쟁기 자료가 삼국시대 쟁기 연구 심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한성백제박물관은 지속적으로 2000년 서울의 역사 복원과 한성기 백제를 비롯한 고대사 조명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발굴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필승지역' 펜실베이니아도 승리…백악관 귀환 성큼[2024美대선]
- 전남편 공개 저격한 황정음 "아이 모습 나만 본다, 메롱"
- "발리서 밤일한다니"…'이범수와 이혼 소송' 이윤진, 가짜뉴스에 분노
- 부부 강제추행 만연…"언제든 만질 수 있다는 건 잘못"
- '커밍아웃' 와썹 지애, 동성 연인과 키스…웨딩화보 분위기
- 검찰, '돈봉투 의혹' 송영길에 징역 9년 구형
- '김 여사 활동중단' 시각차…친한 "외교 활동도 중단" 친윤 "대통령 부인 공적 책무"
- "축의금 조금 내고 겁나 X먹어"…구설수 오른 김종국 발언
- 트럼프 당선 유력, 선거인단 300석 이상 전망도…‘트럼프 집권 2기’ 예고[2024美대선]
- "러 파병 온 북한군, 첫 우크라와 교전서 '상당수'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