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화 성공하려면 데이터 기초부터 닦아야"

안경애 2022. 7. 6. 19: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명재호 엔코아 부사장, 25년간 기업·기관에 전략 컨설팅
"표준화·품질관리·인력 확보 필수"
명재호 엔코아 부사장

"디지털 플랫폼 정부가 되려면 데이터 기본기부터 갖춰야 한다. 전문 인력을 갖추고 데이터 품질과 표준화에 투자하지 않으면 자칫 엉터리 데이터로 엉터리 결과물만 만들 수 있다."

데이터 전문가인 명재호(사진) 엔코아 부사장이 새 정부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 성공조건으로 '데이터 기초'부터 닦을 것을 주문했다. 명 부사장은 이화식 엔코아 대표와 1997년 회사 설립 첫해부터 호흡을 맞춘 창업멤버이자 데이터 아키텍처·품질 전문가다. 지난 25년간 국내 주요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데이터 비전과 전략, 구현방법 등을 컨설팅해 왔다.

그동안 우리나라 IT 전략은 인프라에 초점을 맞춰 왔다. 덕분에 유·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인프라는 세계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SW(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데이터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낮다. 최근 AI(인공지능)가 화두로 등장하면서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투자하고 있지만 정부·공공영역은 변화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새 정부는 AI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부의 업무와 서비스 방식을 바꾸겠다는 의지다.

명 부사장은 "AI를 제대로 하려면 기본 전제가 고품질 데이터다. 그게 돼야 디지털 르네상스도 초혁신도 가능하다"면서 "고품질 데이터와 진화한 AI가 만나면 엄청나게 다른 세상이 올 것이다. 초혁신이 가능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국내외 대기업들이 초거대 AI에 투자를 쏟아붓는 것도 현장에 쌓인 방대한 데이터 덕분이다. 미국 오픈AI의 'GPT-3' 등 글로벌 기업들이 초거대 AI를 개발해 개방하자 기업들이 그에 맞춰 기술투자에 나선 것. 그러나 AI 모델이 훌륭해도 제대로 된 데이터가 없으면 소용이 없다.

그러나 앞서 투자한 기업들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속도에 집중한 나머지 데이터 기초를 소홀히 했기 때문이다.

명 부사장은 "국내 대표 제조기업 한 곳은 수년 전부터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에 엄청나게 투자했지만 막상 결과물을 보니 데이터가 부정확하고 분석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데이터 기본을 다시 쌓는 작업을 하고 있다"면서 "제대로 된 데이터 설계도면을 안 만들면 데이터 수정과 개선에 너무 많은 노력이 들고 비과학적인 일을 계속 해야 한다"고 밝혔다.

급해도 기본부터 다져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기업들은 데이터 모델을 만들고 데이터 정비와 표준화 작업을 하고 있다. 가전, 통신, 유통 등 업종을 가리지 않는다.

명 부사장은 "기업들이 기본으로 돌아간 것은 데이터가 많아도 언제 왜 어떤 규칙으로 만들어지고 어떻게 변경됐는지 모르면 데이터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없고, 그런 데이터로 분석하면 아무것도 못 얻기 때문"이라면서 "정부·공공기관도 데이터 전문가를 확보하고 표준화와 품질관리 체계부터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공공기관의 상황은 더 좋지 않다. 정부·공공기관의 80%는 데이터 모델, 즉 설계도면이 없는데 이는 설계도면도 없이 건물을 짓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게 명 부사장의 지적이다. 공공데이터 품질 수준평가를 위해 데이터 모델을 만들지만 평가에 쓸 뿐 제대로 적용하지 않는 곳도 많다.

현재 공공데이터 개방은 32%고, 이 중 중요 데이터는 10%에 불과하다. 국내 정보시스템이 1만7000여 개인데, 서로 공유되지 않아 칸막이에 막힌 것도 문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데이터 전문가부터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명 부사장은 "국가 CDO(최고데이터책임자)가 필요하다. 미국·유럽 등은 오래 전부터 위원회가 아닌 공식 정부조직을 두고 데이터 정책을 총괄한다"면서 "데이터산업법에 명시된 국무총리 산하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로는 부족하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기관 데이터 표준과 별도로 개별 기관 표준을 두고 둘 간의 차이를 관리하는 체계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기업들이 겪은 시행착오를 정부도 반복해서는 안된다"는 명 부사장은 "새 정부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청약 통합조회, 청년 일자리 매칭 등의 서비스를 3년 내에 하겠다는데, 그 작업을 민간이 주도하도록 해야 한다"구글에서 슬리퍼를 검색하면 페이스북에서 관련 광고가 뜨듯이, 국민 수요를 분석해 정부와 기업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B2G2C(기업·정부·개인간 거래) 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안경애기자 naturean@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