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위기 대한민국', 식량안보 확보 지름길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초부터 국제 곡물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우크라이나와 이역만리 떨어진 한국에서도 종전 소식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다고 해서 세계가 식량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이같은 질문에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은 고개를 젓는다.
전염병이나 전쟁이 없더라도 기후위기에 따른 식량생산의 불안정성은 이제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기 때문이다.
최근 책 <식량위기 대한민국> 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 한국의 식량안보 대책을 새로 짜야 한다"는 남 소장을 1일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식량위기>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식량위기 대한민국’ 펴낸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
“콩·밀 등 생산구조 바꿔야…해외농업 전문인력 양성도 필요”
기후변화로 자연재해 잦아져
식량수출국 동시 발생땐 큰일
국가의제 격상…범부처 협력을
올초부터 국제 곡물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우크라이나와 이역만리 떨어진 한국에서도 종전 소식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가뜩이나 불안정한 식량공급망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기름을 끼얹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다고 해서 세계가 식량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이같은 질문에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장은 고개를 젓는다. 오히려 식량위기가 앞으로 더 빈번해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전염병이나 전쟁이 없더라도 기후위기에 따른 식량생산의 불안정성은 이제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기 때문이다. 최근 책 <식량위기 대한민국>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 한국의 식량안보 대책을 새로 짜야 한다”는 남 소장을 1일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남 소장은 기후위기가 당장 눈앞에 닥친 현실인데도 국민 대부분이 심각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식량안보에 관한 인식도 마찬가지다. 그는 “한국은 식량 순수입국인데도 아직까지 식량 수입에 큰 문제가 발생했던 적이 없고 관개시설이 잘돼 있는 벼농사를 많이 하다보니 식량자급률은 낮아도 위기감은 크지 않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미래는 더이상 그런 낙관이 통하지 않는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세계 각국이 기후위기 대응에 최선을 다한다고 가정했을 때조차 204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 오른다. 지금보다는 평균 0.4℃가 오르는 셈이다.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해가 더 자주, 더 강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는 조건이다.
남 소장은 “지금까지는 식량수출국 한곳에 흉년이 들어도 다른 수출국의 생산량으로 부족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면 앞으로는 수출국들이 동시에 자연재해가 발생하는 상황이 빚어질 것”이라며 “식량의 80% 가까이를 수입하는 우리나라가 미래 국가 위기를 무사히 넘기기 위해서라도 식량안보 대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공급 과잉인 쌀을 제외한 콩·밀 등 주요 곡물은 생산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일례로 밀은 자급률이 0.7%(2019년 기준)에 불과한데 그마저도 품질의 균일성이 떨어져 우리밀 수요가 적다. 농가들이 소규모로 밀을 재배하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여러 농가들이 모여 경영 단위를 키우자고 말한다. 이때 관건은 농작업에 관한 의사결정을 통일해 밀 품질의 균일성을 높이는 데 달려 있다. 그는 “산업체들이 우리밀을 쓰려면 품질이 고르고 공급량이 일정 규모를 넘어야 한다”며 “단순히 여러 농가가 함께 모여 생산량을 늘리는 데 그쳐서는 안되고 농작업 전반을 일괄적으로 수행해 균일한 품질의 밀을 생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농업을 이해하는 전문인력 양성도 과제로 꼽았다. 우리 농업구조 특성상 식량자급률을 무작정 높이기는 불가능하다. 결국 식량 일정부분은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데 해외 식량 생산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역량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 남 소장은 “우리는 해외농업을 너무 모르고 국가별 농업 전문가도 없다”며 “해외농업 공적개발원조(ODA)를 하면서도 농업기술 전수에만 힘을 쏟지 상대국 농업계 리더와 인적 네트워크를 만드는 데는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일본은 일본국제농림수산업연구센터(JIRCAS)가 개발도상국과 자국의 농업 연구 인력 교류에 힘쓴다.
무엇보다 식량안보를 범부처가 함께 다루는 국가 어젠다로 격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소장은 “위기 때 국가의 협상력을 높이고 안전장치를 마련하려면 농업을 담당하는 한 부처의 힘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관계 부처가 함께 우리의 식량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힘을 쏟아야 한다”고 했다.
수원=오은정 기자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