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비싸져서 에어컨도 못 틀어요"

황현규 2022. 7. 5. 23: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폭염이 계속되고 있지만, 냉방시설 가동을 포기한 일터는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치솟는 기름값과 전기료 때문입니다.

폭염에 고물가까지 겹친 일터의 이중고,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5톤 유조차를 운전하는 신대원 씨.

흐르는 땀을 닦고 또 닦고, 물도 수시로 마십니다.

차량 안 온도를 재보니 40도, 습도는 85%.

차 안이 바깥보다 더 덥다 보니 체온은 39도를 넘나듭니다.

에어컨 가동을 포기했기 때문입니다.

[신대원/유조차 운전자 : "(에어컨 같은 거 쉽게 못 켜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더위와의 싸움인데, 원하는 만큼 (에어컨을) 틀려면 지금의 기름값이 떨어져야 되는데, 사실상 어렵고 하니까."]

에어컨을 안 켜면 유류비 최소 30만 원은 아낄 수 있습니다.

대신 차량 배터리에 연결하는 천장형 에어컨을 따로 설치했지만, 하루 10시간 운행 중 길어야 2시간만 틀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이걸 설치했을 때 조금 더 절감을 할 수 있어서..."]

택배기사 김문형 씨도 에어컨을 멈췄습니다.

예전엔 택배 상자를 나른 뒤 차에서라도 땀을 식혔지만, 올 여름은 그마저도 어렵습니다.

[김문형/택배기사 : "땀 식힐 때 틀긴 틀었는데 지금은 기름값이 너무 비싸니까 (가동) 못하고 땀 닦고 물 마시는 거로 끝내고 있어요."]

방과 후 아이들의 학습 공간인 지역 돌봄센터.

에어컨 대신 선풍기만 연신 돌아갑니다.

전기료가 걱정돼 에어컨 가동 규칙을 만들 정도입니다.

[강미경/염광지역아동센터장 : "아이들이 10명 정도 모이면 에어컨 틀기를 자구책으로 생각해서 하고 있고요. 선생님들은 될 수 있으면 이제 선풍기 틀어서..."]

전에 없던 고물가와 폭염, 일터의 이중고가 여느 여름보다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 김경민 하정현/영상편집:김은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황현규 기자 (help@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