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 실업률 '국민고통지수' 7년 만에 가장 높아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일명 ‘국민고통지수’가 7년 만에 최대치로 올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가파른 물가 상승세 속에 국민고통지수 증가는 민간소비 위축 등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5일 발표한 ‘국민고통지수 상승의 경제적 효과 및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는 10.6으로 조사됐다.
국민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한경연은 실업자에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를 더한 수를 실업자로 보는 ‘확장실업률’을 국민고통지수 산출에 필요한 실업률 통계로 이용했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실제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을 말한다. 잠재경제활동인구, 실업자와 함께 확장실업률을 계산하는 지표로 쓰인다. 국민고통지수는 2020년까지는 10 아래에 머물렀으나 코로나19 방역조치 등으로 확장실업률이 9.1%로 정점을 기록한 지난해 1분기에는 10.5로 치솟았다. 지난해 3분기에는 확장실업률이 6.6%로 낮아지자 9.1로 떨어졌다가 4분기부터 국제 원자재가 상승과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9.8로 다시 올랐다.
올해 1분기에는 10.6으로 확장실업률이 발표된 2015년 1분기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분석기간인 2015년 1분기~올해 1분기 중 고통지수 평균치인 7.7의 1.38배에 이른다.
전반적인 실업률 상승 추세 속에 확장실업률 상승세가 공식 실업률 상승세보다 가파르게 나타났다.
국민고통지수가 늘어날수록 민간소비는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한경연 분석 결과 전년 동기 대비 국민고통지수 증가율이 1%포인트 높아지면 민간소비 증가율은 0.13%포인트 낮아졌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민고통지수가 높아질 경우 소비 위축 등 경제 악영향으로 실업이 증가해 이 지수가 다시 높아지는 악순환에 빠져들 수 있다”고 말했다. 추 실장은 “부족한 재정 여력, 취약한 민간의 금융 방어력 등으로 거시정책 운용의 한계가 존재하는 만큼 기업의 활력 제고를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보다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깃밥값 받아야 하나”…노인일자리 식당·카페 휘청
- 대규모 추경에 감세까지…정부, 물가 상승에 기름 붓나
- 지난달 물가 상승률, 24년 만에 첫 6%대
- 중국 열광시킨 ‘수학천재’ 소녀 씁쓸한 결말
- 한양대와 숙대 교수들도 “윤 대통령 즉각 퇴진”…줄 잇는 대학가 시국선언
- [종합] 과즙세연♥김하온 열애설에 분노 폭발? “16억 태우고 칼 차단” 울분
- 여당조차 “특검 수용은 나와야 상황 반전”···정국 분기점 될 윤 대통령 ‘무제한 문답’
- ‘킥라니’ 사라지나…서울시 ‘전동킥보드 없는 거리’ 전국 최초로 지정한다
- 추경호 “대통령실 다녀왔다···일찍 하시라 건의해 대통령 회견 결심”
- “사모가 윤상현에 전화 했지?” “네”···민주당, 명태균 음성 추가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