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생존(低價生存)..불붙은 '할인' 경쟁

엄하은 기자 2022. 7. 5. 18:1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물가가 치솟으면 소비자들은 아끼다 못해 지갑을 아예 닫아버릴 수 있습니다. 

이미 미국은 소비 둔화가 숫자로 나타났고 우리도 유통업체들 매출이 눈에 띄게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유통업계가 대대적인 할인행사에 나섰습니다. 

엄하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주부 박 모 씨는 할인 행사 소식에 부리나케 마트를 찾았습니다. 

양파 3개가 990원으로 지난주의 절반 가격이고, 5천 원 만 더 내면 키위 한 팩을 더 살 수 있습니다. 

[박경옥 / 주부 : 더 많이 사게 되는 것 같아요. 가격이 지금 이렇게 (싸게) 된다는 것은 저는 놀랐어요. 키위가 2팩에 하나 값이니까….] 

마트마다 할인 품목이 다르니 마트 투어를 하는 소비자도 있습니다. 

[김명숙 / 주부 : 토마토는 7천 원 가까이 됐었는데 지금 6천 원이던데요. 마트 싼 데만 골라 다니는데요. (할인행사가) 당연히 반갑죠.] 

또 다른 대형마트는 아예 '물가 안정 TF'를 가동 중이고, 포장 김치와 돼지고기 등 정부의 세금 감면 대표 상품에 추가 할인까지 진행 중입니다. 

편의점엔 2천 원대 도시락이 등장했고, 삼겹살과 콩나물 등 마트에서나 팔던 식재료를 마트보다 싸게 팔기도 합니다. 

[여준상 /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 워낙 물가가 고공행진에 지갑이 닫히고 소비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게 결국엔 '최저가'라는 (것이죠.) 편의점까지도 함께한다는 건 유통업계 전반에 고물가 상황에 소비자들의 닫힌 지갑을 열기 위한 고육지책이 아닌가….] 

다만, 글로벌 원자재가 상승에 전기료 인상 등이 겹치면서 이 정도 이벤트성 할인행사로 물가상승세를 잡기에는 한계가 불가피합니다. 

SBS Biz 엄하은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