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음식 주문시간도 아까워 손님 없는 식당 찾는 지식 흡입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두 뺨 너비의 상자, 그 안에 가득 차 있는 A4 용지에 인쇄된 논문.
그 상자를 사람 키만큼 쌓아 올리고, 또 한 번 같은 높이 만큼 쌓아 올렸다.
이 학생은 그렇게 인쇄한 논문들을 모두 꼼꼼히 밑줄을 치며 읽고, 그 종이에 본인의 생각을 적어 두었다.
한번은 포커를 치는데, 본인이 든 카드가 먼저 죽자 남은 사람이 배팅하는 그 시간 동안 가방에서 논문을 꺼내서 읽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두 뺨 너비의 상자, 그 안에 가득 차 있는 A4 용지에 인쇄된 논문. 그 상자를 사람 키만큼 쌓아 올리고, 또 한 번 같은 높이 만큼 쌓아 올렸다. 그 안에 들어있는 논문을 다 읽으려면 얼마나 걸릴까. 2009년 9월에서 2011년 5월까지 미국 일리노이대 수학과 건물인 알트겔드홀 지하 컴퓨터실에서는 항상 종이와 프린터 토너가 부족했다. 매일 수백 장씩 논문을 프린트하는 한 학생 때문이었다. 이 학생은 그렇게 인쇄한 논문들을 모두 꼼꼼히 밑줄을 치며 읽고, 그 종이에 본인의 생각을 적어 두었다.
2011년 5월 이 학생은 미국 미시간대로 대학원을 옮기기 전까지 한국을 다녀오겠다며 잠시 짐을 맡아 달라는 부탁과 함께 논문이 가득한 상자를 제 집에 두었다. 그 여러 상자 안에 꽉 차 있는 논문은 군데군데 밑줄이 쳐져 있고, 여러 논평이 적혀있었다. 글씨체 또한 매우 수려했다. 이미 눈치챘겠지만, 그 학생이 바로 올해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교수)이다.
본인의 표현을 빌려 말하면 허 교수는 ‘마치 고래가 크릴을 먹어 치우는 것처럼, 지식을 최대한 많이 습득한 후에 그 지식들 사이에 연결성을 찾는 과정을 반복했다’고 했다. 한번은 포커를 치는데, 본인이 든 카드가 먼저 죽자 남은 사람이 배팅하는 그 시간 동안 가방에서 논문을 꺼내서 읽었다. 그렇게 종일 논문을 읽다가 도저히 더 읽지 못할 때는 스타크래프트 경기 방송을 틀어놓고 논문 초록을 읽으며 더 읽을 논문들을 찾았다.
정말 고래 못지않은 지식 먹방러였던 것 같다. 허 교수는 그런 과정을 ‘운이 좋아지는 알고리듬’이라고 표현하며, ‘그런 과정에서 서로 다른 분야를 연결하는 행운을 얻어 좋은 논문은 썼지만, 깊이 있는 공부를 하지 못해 후회된다’고 회고했다.
이렇게 쓰고 보니 허 교수가 수학만 하느라 인생을 즐기지 못하는 사람으로 오해받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알고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인생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매우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행복에 집중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음식을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공부하려고 일부러 손님이 없는 음식점을 가고, 저렴하면서 좋은 물건을 사는데 드는 시간이 아까워서 비교하지 않고 무조건 제일 비싼 물건을 사는 등, 본인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측면에는 전혀 가치를 두지 않았다.
하지만 본인을 행복하게 하는 일에는 그만큼 집중하고, 본인이 좋아하는 사람과 보내는 시간은 전혀 아끼지 않아왔다. 매우 가정적인 사람이고, 정말 좋은 아버지이기도 하다. 요즘은 아들과 노는 일에 가장 큰 열의를 보인다. 얼마 전 방문했을 때는 일곱 살 난 아들 ‘단이’가 뮤직비디오를 찍겠다고 감독을 자처했다. 단이가 자작 랩을 하고 저와 허 교수 부부 전원이 그 뒤에서 함께 춤을 추는 영상을 찍기도 했다.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보면 도대체 공부할 시간은 언제 있나 싶지만, 그렇게 가족과 있는 시간은 온전히 가족에 집중하고 아들이 학교 간 사이에 공부하고, 또 새벽에 혼자 일어나 공부를 한다.
허 교수가 수학자로서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이 있다.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모든 걸 이룬 끝이기보다는 시작일 것이다.
※필자소개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주립대에서 허준이 교수와 인연을 맺고 현재 KAIST에서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다.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