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의 도전.."K푸드 불모지, 유럽서 '비비고 신화' 만들겠다"

하수정 2022. 7. 5. 1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J제일제당이 '한국음식 불모지'인 유럽 시장 공략을 선언했다.

CJ제일제당은 최근 유럽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현지화를 통해 공략하면 이 시장에서도 승산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이재현 회장의 한국 식문화 세계화 철학을 바탕으로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비비고' 브랜드로 K-푸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1위 아시안푸드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은석 제일제당 대표, 유럽 중장기성장전략 회의
2027년까지 매출 5000억원 목표
현지 기업 인수합병(M&A)도 검토
CJ제일제당은 최근 독일에서 '유럽 중장기 성장 전략회의'를 열고 2027년까지 유럽 식품사업 매출 5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CJ제일제당 유럽 중장기 성장 전략 회의 풍경. 사진=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이 '한국음식 불모지'인 유럽 시장 공략을 선언했다. 유럽 현지에서 플랫폼 업체와의 협업 뿐 아니라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미국에서 보여준 '비비고 신화'를 유럽까지 이어가겠다는 목표다. 

CJ제일제당은 독일에서 최은석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유럽 중장기 성장 전략 회의’를 열고 "유럽 식품사업 매출을 2027년까지 5000억 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5일 발표했다.

2018년 유럽에 진출한 CJ제일제당의 올해 관련시장 매출은 600억원 수준이다. 이를 5년 내 8배 이상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유럽은 국가별 식문화와 유통 환경이 다른데다 가공식품 기술력이 뛰어나 국내 식품업체들이  공략하기는 쉽지 않은 시장으로 꼽힌다. 동남아시아와 미국까지 'K푸드'의 영역이 확대됐지만 유럽은 아직 볼모지에 가깝다는 평가다.  

CJ제일제당은 최근 유럽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현지화를 통해 공략하면 이 시장에서도 승산이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미국에서 '비비고' 브랜드로 성공한 경험이 유럽 시장으로의 영역 확장 도전에 원동력이 됐다는 분석이다. CJ제일제당의 미국 매출은 2019년 2조6756억원에서 지난해 3조3743억원으로 뛰었다. 올 1분기 매출도 9153억원에 달해 미국시장에서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 

최 대표는 "런던, 파리에 있는 대형 마트에서 비비고 제품을 카트에 담는 소비자들을 보며 가능성을 봤다"며 "유럽을 빼고는 글로벌 전략이 완성되지 않는만큼 유럽시장을 위한 퀀텀점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J제일제당이 유럽 시장에 내 놓을 제품은 만두와 가공밥, 한식 치킨 등이다. 현지에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동남아식 롤'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아시안푸드 시장에 본격 진입하고 만두와 롤, 딤섬 등을 아우르는 '랩푸드' 시장 1등에 도전할 예정이다. 

유럽시장 공략은 지난 5월 설립한 영국 법인 중심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와 접점이 많은 다양한 플랫폼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비비고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하반기에는 유통채널 입점을 추진한다.  

2018년 인수한 독일 냉동식품기업 마인프로스트와 올해 초 준공한 베트남 키즈나 공장을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생산기지로 활용키로 했다. CJ제일제당은 유통망과 인프라를 갖춘 현지 식품업체 M&A도 검토할 방침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이재현 회장의 한국 식문화 세계화 철학을 바탕으로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비비고’ 브랜드로 K-푸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1위 아시안푸드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