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징용 외면했던 日미쓰비시..중국인 피해자엔 사죄 비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1200여 명이 강제 노역한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해저 탄광을 운영했던 미쓰비시(三菱) 공업이 중국인 강제 연행 피해자를 위한 추도비(사진)를 제작해 건립을 완료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우호비는 군함도 등에 강제 연행된 중국인 피해자 및 유족과 미쓰비시 측이 2016년 6월 타결한 합의에 따른 것으로, 일본의 중국인 강제 연행과 강제 노역 사실이 명확하게 기재돼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가사키 지역 공원 추도비 설치
한국-중국 다른 잣대 지적 제기
일제강점기 조선인 1200여 명이 강제 노역한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해저 탄광을 운영했던 미쓰비시(三菱) 공업이 중국인 강제 연행 피해자를 위한 추도비(사진)를 제작해 건립을 완료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미쓰비시가 중국인 피해는 공식 인정하면서도 조선인 피해는 여전히 부인하고 있는 셈이어서 비판 여론이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5일 국내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쓰비시는 지난해 11월 14일 나가사키(長崎) 외곽에 위치한 작은 공원에 ‘일·중 우호 평화·부전(不戰)의 비’(이하 우호비)를 설치한 뒤 비밀리에 제막식을 가졌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제막식에는 미쓰비시 관계자뿐 아니라 관련 사회단체 측 인사들이 참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호비는 군함도 등에 강제 연행된 중국인 피해자 및 유족과 미쓰비시 측이 2016년 6월 타결한 합의에 따른 것으로, 일본의 중국인 강제 연행과 강제 노역 사실이 명확하게 기재돼 있었다.
비석 뒷면에는 “약 3만9000명의 중국인 노동자가 일본에 강제 연행됐다. 이 중 3765명의 중국인 노동자는 미쓰비시 및 그 하청 회사에 의해 사업소에 투입돼 열악한 조건 아래서 노동을 강요당했다. 그 사이 722명이라는 많은 중국인 노동자가 숨졌다”는 문장이 일본어와 중국어로 새겨져 있었다. 또 우호비에는 미쓰비시가 “중국인의 인권이 침해된 역사적 사실 및 역사적 책임을 솔직하고 성실하게 인정하고 통절한 반성과 심심한 사죄, 애도의 뜻”을 표명하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이와 함께 우호비 양쪽에 있는 4개의 직육면체형 석조물에는 중국인 피해자 845명이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미쓰비시는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해서는 사과를 하지 않는 등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 연행과 강제 노동을 부정하는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일본 측이 중국과 한국에 서로 다른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미쓰비시와 일본 정부는 한·일 간에는 1965년 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체결한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강제징용 문제는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선영 기자 sun2@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납세자연맹 “尹 대통령 저녁식사비·부부 영화 관람비 공개하라”
- CNN “한국, 출근 재개하며 ‘갑질’도 부활…술 취한 상사가 성희롱 문자”
- [단독]尹 참석 ‘대통령실 성교육’ 당일 취소…송옥렬 성희롱 논란 의식?
- 비어있는 화면 보며 업무? 대통령실 “결재 직후 화면” 설명
- 김혜수, 팔짱끼고 다정하게 ‘극장 데이트’
- 27년간 휴무없이 일한 버거킹 직원에 3억9000만원 성금
- 김종민 “신지 전남친, 너무 별로…돈을 얼마나 꿔줬냐” 폭로
- “여사님 얼굴 아픔이 가득”...박주민·김용민·김남국 의원 등 양산 사저 방문
- “싸게 팔아줘 고맙다”…엘살바도르, 비트코인 80개 추가 매수
- 尹, 인사부실 지적에 “前 정권 지명 장관 중 그렇게 훌륭한 사람 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