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물가 IMF위기 이후 최악.."7%대 상승률 배제 못 해"(종합2보)
기사내용 요약
통계청 '2022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체감' 생활물가 23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
석유류 39.6% 뛰어…1998년 10월 이후 최대
외식물가 8.0%↑…약 30년 만에 최대 상승
근원물가 4.4%↑…13년 3개월 만에 최고
"지금 추세라면 당분간 6%대 유지 가능성"
[세종=뉴시스] 박영주 옥성구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6.0% 오르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공급망 차질 등으로 석유류, 공업제품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고 개인서비스도 높은 물가를 지속하고 있다. 여기에 채소 등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도 확대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정부는 이 같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연중 물가상승률이 7%대까지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100)로 1년 전보다 6.0% 상승했다. 전월 5.4%보다는 0.6%포인트(p) 확대됐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3.2%), 11월(3.8%), 12월(3.7%), 올해 1월(3.6%), 2월(3.7%)까지 5개월 연속 3%를 보였다. 3월(4.1%)과 4월(4.8%) 4%대에 이어 5월 5.4%까지 오르더니 지난달에는 6.0%까지 치솟는 등 물가 상승 속도가 가팔랐다.
품목별로 보면 상품과 서비스 물가가 각각 1년 전보다 8.5%, 3.9% 상승했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 물가는 4.8% 올랐다. 채소류 가격이 6.0% 상승하면서 농산물 가격도 1년 전보다 1.6% 상승했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쌀(-12.6%), 사과(-19.1%), 고구마(-31.6%), 배(-13.8%), 참외(-7.4%) 등의 가격은 내려갔으나 포도(31.4%), 배추(35.5%), 수박(22.2%), 감자(37.8%) 등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축산물 가격은 10.3% 상승했다. 돼지고기(18.6%), 수입쇠고기(27.2%), 닭고기(20.1%) 등이 모두 올랐다. 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9.3% 상승했다. 2008년 9월(9.3%)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특히 경유(50.7%), 휘발유(31.4%), 등유(72.1%), 자동차용 LPG(29.1%) 등 석유류 가격이 39.6%나 뛰었다. 이는 1998년 10월(42.0%)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경유 가격 역시 2008년 7월(51.2%)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밀가루(36.8%), 국수(31.5%), 부침가루(22.1%), 빵(9.2%), 식용유(40.3%), 소금(29.3%) 등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보다 7.9% 올랐다.
전기료(11.0%), 도시가스(11.0%), 상수도료(3.7%) 등이 오르면서 전기·수도·가스요금은 1년 전보다 9.6% 올랐다. 지난 4월 기준연료비와 기후환경요금 인상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과 주택용·일반용 도시가스 요금이 오르면서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달 1일부터 적용된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분은 다음 달 지표에 반영될 전망이다.
서비스 물가 중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0.7% 상승에 그쳤다. 외래진료비(2.3%), 국제항공료(21.4%) 등은 올랐지만 유치원납입금(-18.6%), 부동산중개수수료(-7.7%) 등이 하락하면서다.
반면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5.8%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1998년 5월(5.9%)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특히 생선회(10.4%), 치킨(11.0%) 등 외식 물가가 8.0% 올랐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8개월 만에 가장 컸다. 보험서비스료(14.8%), 공동주택관리비(4.5%) 등 외식 외 서비스 물가도 4.2% 상승했다.
특히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 물가가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공업제품의 물가 기여도는 3.24%p, 개인서비스는 1.78%p로 집계됐다. 두 품목이 물가 상승률 6.0% 중 5.0%를 차지하는 셈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에 수요 측면 요인이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여전히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곡물 가격 상승 등 대외적인 공급 측면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집세는 전세(2.7%), 월세(1.0%) 등이 모두 오르면서 1.9% 올랐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7.4% 상승했다. 1998년 11월(10.4%) 이후 23년 7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크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5.4% 올랐다. 지난 1월(6.0%)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4.4% 상승했다. 2009년 3월(4.5%) 이후 13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년보다 3.9% 올랐다. 2009년 2월(4.0%) 이후 13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어 심의관은 향후 물가 전망과 관련해 "국제유가 오름세 둔화 시각도 있지만, 지켜봐야 하므로 지금 추세라면 당분간 (물가 상승률이) 6%대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며 "월간 7%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연간 물가와 관련해서는 "지금 수준을 유지하면 4.7% 수준이겠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면) 그보다 높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기획재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국제에너지·곡물가 상승 영향으로 당분간 어려운 물가 여건이 지속될 수 있다"며 "정부는 그동안 발표한 민생·물가안정 과제들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민생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방안을 지속 강구할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castlenin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럼프, '매직 넘버' 270명 달성…'美위대하게' 화려한 귀환(종합)[트럼프 시대]
- 전남편 공개 저격한 황정음 "아이 모습 나만 본다, 메롱"
- "발리서 밤일한다니"…'이범수와 이혼 소송' 이윤진, 가짜뉴스에 분노
- 부부 강제추행 만연…"언제든 만질 수 있다는 건 잘못"
- '커밍아웃' 와썹 지애, 동성 연인과 키스…웨딩화보 분위기
- 민주, 명태균 녹취록 추가 공개…"내가 윤상현 복당시켜"
- '김 여사 활동중단' 시각차…친한 "외교 활동도 중단" 친윤 "대통령 부인 공적 책무"
- "축의금 조금 내고 겁나 X먹어"…구설수 오른 김종국 발언
- 트럼프 당선 유력, 선거인단 300석 이상 전망도…‘트럼프 집권 2기’ 예고[2024美대선]
- "러 파병 온 북한군, 첫 우크라와 교전서 '상당수'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