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디지털 유산 상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토종 SNS인 싸이월드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시대가 오기 전인 2000년대 중·후반 미니홈피 열풍을 이끌었다.
싸이월드 운영권을 인수한 싸이월드제트에 따르면 이 회사가 최근 시작한 '디지털 상속권 보호 서비스' 신청이 2400여 건으로 집계됐다.
서비스 옹호자들은 고인의 SNS에 남아있는 사진과 영상, 다이어리 등의 게시물은 디지털 유산이라고 본다.
애플은 지난해 계정 소유주가 유산 관리자를 최대 5명까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유산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쟁점은 일종의 ‘디지털 유산’이라는 관점과 유족이라도 고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없다는 입장의 충돌이다. 서비스 옹호자들은 고인의 SNS에 남아있는 사진과 영상, 다이어리 등의 게시물은 디지털 유산이라고 본다. 고인이 쓴 책이나 일기장, 편지 등 유품을 유가족이 물려받는 것과 같다는 논리를 편다. 반면 반대자들은 “아무리 유족이라 할지라도 고인의 모든 데이터를 볼 권리는 없다”며 이른바 ‘잊힐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진국에선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2018년 독일 연방법원은 사망한 15세 아이의 페이스북 계정에 대해 어머니에게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결정을 내렸다. 애플은 지난해 계정 소유주가 유산 관리자를 최대 5명까지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유산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구글은 계정 소유주가 일정 기간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계정을 대신 관리할 사람을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국내에는 디지털 유산을 별도로 규정하는 법률이 없다. 네이버는 유족이더라도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요청 시 공개 정보만 백업해 제공하고 나머지는 회원탈퇴로 처리한다. 다른 회사도 비슷한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계속 축적되는 디지털 정보를 무한대로 남겨둘 수는 없고,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사후에 가족들이 보더라도 부끄럽지 않게 기록·데이터 관리에 신경 써야 하지 않을까.
채희창 수석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차악으로 선택해달라”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사기에 세입자 사망…‘美호화생활’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