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현의 일상 속 문화사] "영혼을 치유한다".. 18세기 후반 英의사들 처방이 '사고 전환' 계기
셰익스피어, '풍랑' 등과 관련지어 언급
어부들이 목숨 걸고 일하는 곳이었을 뿐
대중들에게 긍정적 장소와는 거리 멀어
17세기 서구문화에서 매력적 묘사 시작
해수욕이라는 개념도 처음으로 등장해
英 남부 브라이턴 '해변 휴양지' 대명사
그런데 내 눈길을 끈 것은 동판 마지막 줄에 등장하는 “바닷가에서 보낸 하루는 영혼을 회복시킨다”라는 문구였다. 제법 낯이 익은 문구였기 때문에 세상을 떠난 여성이 처음 한 말은 아닌 게 분명했다. 집에 와서 찾아보니 짐작대로 바닷가나, 인테리어 소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꽤 유명한 문구였다. 정확하게 누가 언제 만들어냈는지는 모르지만 틀린 말 같지는 않다. 복잡한 도시와 일상에서 벗어나 사람이 많지 않은 해변에서 조용하게 하루를 보낸 후에 정신이 맑아지고 상쾌해지는 건 당연해 보인다.
물론 그게 과연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흥미로운 건 우리가 “여름 바캉스 시즌”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바닷가 모래밭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이유와 바닷가에서 “영혼을 치유한다”는 생각이 처음 등장한 이유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원래 바다는 사람들이 쉬러 가는 곳이 아니었고, 바닷가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는 건 인류 역사에서 꽤 늦게 등장한 사고 방식인데, 이런 사고의 전환이 일어나게 된 계기가 의사들 처방이었기 때문이다.
역사학자들이 기독교 성경을 비롯한 고대 문헌에 등장한 바닷가 관련 언급을 살펴보고 내린 결론은 ‘인류에게 바다는 신비롭고 파괴적인 장소’라는 것이다. 성경에서는 ‘끝 모를 심연(深淵)’이나 ‘대홍수’, 거대하고 알 수 없는 생명체에 대한 언급이 있을 뿐이다. 세네카나 오비디우스 같은 고대 로마 철학자들도 바다는 사람들 사이를 벌어지게 하는 “비사교적인” 장소라고 생각했다.
셰익스피어(1564∼1616)까지만 해도 바다는 ‘풍랑’과 ‘끔찍한 여행’, ‘난파(難破)’와 관련지어 언급될 뿐이었다. 특정 개인이 바닷가에서 아름다움을 즐겼을 수 있을지 몰라도 대중에게 바다와 바닷가는 긍정적인 연상을 일으키는 장소와는 거리가 멀었다. 바다는 어부와 선원들이 어쩔 수 없이 목숨을 감수하고 일을 하는 곳이었지, 쉬러 가는 곳이 아니었다.
그랬던 바다 이미지가 서구 문화에서 처음으로 긍정적으로 묘사되기 시작한 건 1600∼1700년대였다고 전해진다. ‘The Lure of the Sea(바다의 매력)’이라는 책에서 저자 앨런 코빈은 이 시기부터 프랑스 시에서 바다를 좋게 묘사하는 대목들이 보이기 시작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17세기 네덜란드의 풍경화에서 바닷가를 아름답게 묘사하면서 그 풍경을 직접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바다를 찾아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런 유럽인들 사고에서 바다를 휴식, 혹은 건강을 회복하는 장소라는 이미지로 바꾼 사람들은 영국인들이었다. 1700년대 후반부터 영국 의사들이 분노와 신경쇠약, 우울증에 시달리는 환자들에게 바닷가에서 쉬면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바닷물에서 목욕을 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처방을 하기 시작했다. 우리에게 익숙한 해수욕(海水浴), 즉 바닷물 목욕이라는 개념이 등장한 게 이때인 듯하다. 1700년대 후반에 앙투안 라부아지에를 비롯한 과학자들이 산소라는 화학 원소를 발견했다. 사람들은 바닷바람에 도시 공기보다 산소가 더 많이 들어있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믿었다.
그렇게 해서 1800년대 초가 되면 영국인들 사이에서는 바닷가에서 건강을 회복한다는 개념이 널리 퍼졌고, 당시에 영국 전역으로 확산된 철도는 여유가 별로 없는 일반인들도 해변으로 여행할 수 있게 해줬다. 리버풀 북쪽에 위치한 블랙풀(Blackpool) 해변은 최초로 노동계급을 위한 해변 리조트가 됐다. 왕족이 쉬던 브라이턴 해변도 다르지 않아서 미국 뉴욕시 브루클린 남부에 있는 유명한 브라이턴 해변도 영국 해변 이름을 가져다 붙일 만큼 해변 휴양지의 대명사가 되었다.
그런데 알다시피 1800년대는 영국이 세계를 주름잡은 시대였다. 당시 영국은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릴 만큼 전 세계에 식민지를 갖고 있는, 돈이 몰리는 나라였다. 그런 영국에서 유행하는 일이라면 다른 나라들도 따라하는 건, 영국 내에서 귀족들의 유행이 평민에게 퍼지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프랑스의 노르망디 해변, 독일 북부와 스칸디나비아 지역 등 대서양을 접한 나라들이 ‘해변에서의 휴식’을 새로운 문화로 받아들였고, 이는 곧이어 중부와 남부 유럽까지 확대되었다.
흥미로운 건 정작 전 세계 사람들을 해변으로 달려가게 만든 영국인은 바닷물에 들어가서 수영을 하는 행동을 그야말로 목욕처럼 극도로 사적인 일이라고 생각해서 다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물에 들어가는 걸 꺼렸다는 점이다. 수영복이 없던 때라 옷을 입고 들어가는 것임에도 하면 안 되는 일이었다. 치료를 위해 처음 해수욕을 하던 사람들이 왕족과 귀족이었다는 걸 생각하면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찾아오지 못하는 자신만의 공간에서 그렇게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누구나 찾아오는 공공 해변에서 물에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영국이 아닌 유럽 본토에 사는 사람들이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