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 발목잡힌 테슬라, 생산량 5만대↓..韓도 위험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중국 정부의 상하이 봉쇄가 겹쳐 전기차 업계 1위 테슬라 2분기 생산량이 1분기 대비 5만대 가까이 쪼그라들었다.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중국 정부가 상하이를 두달 가량 봉쇄하면서 이곳 공장도 가동에도 차질을 빚었다.
봉쇄 당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는 상하이 공장의 조업이 중단됐던 3주간 이에 대해 단 한 마디 언급도 하지 않았다.
문제는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국내 시장도 테슬라처럼 중국 정부 입김에 휘둘릴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중국 정부의 상하이 봉쇄가 겹쳐 전기차 업계 1위 테슬라 2분기 생산량이 1분기 대비 5만대 가까이 쪼그라들었다. 테슬라 창사 이래 최저 감소치다. 의존도가 높은 리튬 등 전기차 핵심 소재에 중국 정부가 개입하면 국내 전기차 인프라도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테슬라의 올해 2분기 생산량은 25만8580대, 인도량은 25만4695대를 기록했다. 지난 1분기엔 각각 30만5407대, 31만48대를 기록한 것에 비해 약 5만대가 줄어든 수치다.
테슬라 상하이 공장이 가동을 제대로 못한 탓이다.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중국 정부가 상하이를 두달 가량 봉쇄하면서 이곳 공장도 가동에도 차질을 빚었다. 차량용 반도체 등 핵심 부품 공급난도 영향을 받았다.
세계에서 전기차 시장이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인 중국은 테슬라 판매의 약 40%를 차지한다. 중국 시장에 의존했던 테슬라가 꽤나 큰 역풍을 맞은 셈이다. 월가 투자회사 웨드부시는 최근 투자자들에 보낸 메모에서 "4월과 5월 중국 내 생산은 절대적인 참사"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의 상하이 봉쇄 정책은 당시 현지에서도 많은 반발을 받았다. 일각에서는 권위주의적인 코로나19 방역 정책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중국 정부가 무리하게 밀어붙인 경향도 컸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봉쇄 당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는 상하이 공장의 조업이 중단됐던 3주간 이에 대해 단 한 마디 언급도 하지 않았다. 중국 정부의 눈밖에 나지 않기 위해서란게 업계 중론이다.
반면 미국 정부가 2020년 3월 프리몬트 공장의 생산 중단을 명령하자 머스크는 "집에 사람들을 강제로 가두는 것에 해당한다"며 "당국이 집을 떠날 수 없으며 그렇게 하면 체포될 것이라고 협박하는 것은 파시스트 정권과 다를 것이 없다"고 정면 비판했다.
문제는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국내 시장도 테슬라처럼 중국 정부 입김에 휘둘릴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12만8629대로 전년 대비 103.8% 성장했다. 전기동력차는 배터리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수소전기차를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리튬 등 중국에서 나오는 전기차 핵심 원자재의 국내 시장 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행한 BOK이슈노트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의 특징 및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자동차, 이차전지 등에 사용되는 주요 필수 소재인 마그네슘, 희토류, 리튬 등의 대(對)중 의존도는 80% 이상이다.
한국은행은 중국 봉쇄정책 변동성 등 공급망 차질 위험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원자재 해외의존도가 높아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크단 지적도 내놨다.
국내 전기차 수요 자체가 감소할 우려도 있다. 한국전력이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2017년부터 시행했던 전기차 충전 요금 할인 특례 제도는 지난달 종료됐다. 여기 한전은 전기요금에 적용하는 연료비 연동요금을 이달부터 ㎾h당 5원 올리기로 했다.
이에 지난달까지 ㎾h당 292.9원이던 급속충전요금이 313.1원으로 오른다. 한 달만에 8.6%가량 오른 것. 현대차 아이오닉5를 기준으로 지난달 1회 완충 비용은 2만2670원이었는데, 할인 특례 폐지와 전기요금 인상분을 반영하면 2만4620원으로 올라 지난달보다 2000원가량 비싸진 셈이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상황과 국내 산업의 취약성을 면밀히 점검하고 향후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막례 할머니 유튜브, 이틀새 3만명 '구독취소'…손녀 결혼 때문에? - 머니투데이
- 여에스더, 또 외모 지적…♥홍혜걸 "환갑 아줌마" 발언엔 '발끈' - 머니투데이
- 이효리·이상순 저격한 전여옥 "재벌 못지 않다…꼭 카페 해야하나" - 머니투데이
- 김종민 "신지 전 애인 너무 별로였다…돈 많이 꿔 가더라" - 머니투데이
- 전다빈 이혼 사유 "전 남편, 고금리 대출 …내 이름으로 빚 쌓여" - 머니투데이
- 파티 분위기…트럼프, 별장서 머스크와 개표방송 즐겨 - 머니투데이
- '이범수와 이혼 소송' 이윤진, 1년만에 아들 본 상황 - 머니투데이
- 트럼프, 경합주 7곳 모두 싹쓸이?…"당선확률 92%로 치솟아" - 머니투데이
- '레드웨이브' 한발 앞으로…미국 공화당, 4년 만에 상원 다수당 탈환 - 머니투데이
- 지드래곤, 멤버 3명 남은 빅뱅에…"더 이상 줄지 말자" 신신당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