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워치]청호그룹 정휘동 회장의 갖가지 스펙트럼

신성우 2022. 7. 4. 07: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업가의 길을 걸은 지도 어느덧 29년째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청호(淸湖)그룹을 매출 1조원에 육박하는 중견 생활가전업체 반열에 오르게 한 창업주 정휘동(63) 회장의 지배구조는 그래서 갖가지 스펙트럼을 갖는다.

현 주력사인 생활가전업체 청호나이스㈜의 모태 청호인터내셔날을 설립한 게 이 때다.

정 회장이 청호그룹을 창업한지도 내년이면 어느덧 30돌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견기업 진단] 청호①
알짜 개인회사 수두룩..주목받는 쓰임새
내년 창업 30돌..2세 승계 궁금증 증폭

기업가의 길을 걸은 지도 어느덧 29년째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청호(淸湖)그룹을 매출 1조원에 육박하는 중견 생활가전업체 반열에 오르게 한 창업주 정휘동(63) 회장의 지배구조는 그래서 갖가지 스펙트럼을 갖는다. 

가업 승계도 매한가지다. 시간이 흐르고 환경이 바뀌고 사람도 변하는 게 세월이다. 후계 승계에 대한 세간의 호기심이 증폭되는 시기, 비록 후계자의 윤곽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았지만 마침 소리 소문 없이 진행된 부(富)의 대물림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정휘동 청호그룹 회장

매출 1조 눈앞에 둔 청호

정휘동 청호 회장은 1세대 정수기 엔지니어다. 경주 출신으로 고교 졸업 후 미국으로 유학해 미네소타주 주립대를 거쳐 대학원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학업을 마친 뒤에는 현지 정수기 회사의 수석 엔지니어로 활동했다.

국내에 발을 들인 것은 1991년 웅진코웨이(현 코웨이) 제품개발팀에 합류하면서다. 2년여 활동한 뒤 1993년 5월 창업으로 이어졌다. 현 주력사인 생활가전업체 청호나이스㈜의 모태 청호인터내셔날을 설립한 게 이 때다. 

불 같이 일어났다. 코웨이와 함께 정수기 시장의 쌍두마차로 자리매김했다. 2000년대 초에는 점유율이 30%에 달했다. 정수기를 비롯해 공기청정기, 비데 등 생활가전업체로 변신한 지금도 건재하다. 가전렌탈시장에서 SK매직, LG전자, 쿠쿠홈시스 등과 함께 ‘절대 강자’ 코웨이 다음 자리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  

벌이 또한 한 단계 레벨업된 상태다. 2013~2019년 매출 3000억원대로 오랫동안 정체 양상을 보였지만 2020~2021년 4200억원 안팎으로 성장했다. 영업이익 또한 400억원대에 안착, 2002년(10.6%) 이후 18년 만에 두 자릿수를 회복했다. 2010년 이래 무차입 경영을 할 만큼 돈 걱정도 없다.  

늦둥이 아들에 꽂히는 시선

창업 성공 신화는 계열 확장을 수반하기 마련이다. 마이크로필터, 엠씨엠(MCM), 엠앤티엔지니어링, 나이스엔지니어링 등 생활가전 분야 계열사들이 달리 만들어진 게 아니다. 중국 정수기 제조 합자법인을 비롯해 베트남, 말레이시아 현지법인도 두고 있다. 청호그룹이 매출 1조원 달성을 눈앞에 둔 배경이다. 

한데, 계열 지배구조 독특하다. 모태이자 주력사인 청호나이스를 정점으로 한 수직지배체제가 아니다. 상당수가 창업주인 정 회장 개인 소유다. 청호나이스 외에 마이크로필터, 엠씨엠(MCM) 등이 면면이다. 

한 해도 흑자를 거른 적이 없는 데가 돈이 아쉬울 게 없어 무차입 경영을 하는 알짜 업체다. 정 회장의 ‘돈줄’로 요긴하게 활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게 다가 아니다. 개인 대부업체까지 가지고 있다. 동그라미파이낸스대부다. 최근에는 금융업을 확장할 움직임까지 엿보인다.  

정 회장이 청호그룹을 창업한지도 내년이면 어느덧 30돌이다. 이제 시선은 가업 승계로 옮아간다. 게다가 청호나이스를 비롯해 정 회장 개인 소유의 알짜 계열사들이 수두룩한 터라 2세에 대한 궁금증은 증폭된다. 다만 후계자가 경영수업 단계를 밟기 시작했다는 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지분 승계 움직임도 전혀 없다. 

정 회장이 여전히 경영일선에서 왕성히 활동 중이기 때문일 수 있다. 부인 이경은(58) 이화여대 의대 의학과 교수와 슬하의 아들에 시선이 꽂히는 이유다. 

신성우 (swshin@bizwatch.co.kr)

ⓒ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