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84> 백성을 잘살게 하는 게 군주 임무라 밝힌 '관자'

조해훈 시인·고전인문학자 2022. 7. 4.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창고에 곡식이 가득 차야 예절을 알고, 먹고 입는 것이 풍족해야 명예와 치욕을 알게 된다.

'관자'는 전국시대 제나라 명재상 관중(?~BC 645)이 지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제나라 지역 관자학파가 핵심 부분을 저술하고, 그 뒤 여러 단계에 걸쳐 추가로 집성했다는 것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주합'은 '관자'의 편명(篇名)에서 따온 것으로, '우주(宙)와 합일(合)된다'는 뜻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먹고 입는 것 풍족해야 명예·치욕 알게 된다

- 衣食足則知榮辱·의식족즉지영욕

창고에 곡식이 가득 차야 예절을 알고, 먹고 입는 것이 풍족해야 명예와 치욕을 알게 된다.

倉庫實則知禮節, 衣食足則知榮辱.(창고실즉지예절, 의식족즉지영욕.)

‘관자(管子)’의 맨 첫 편인 ‘목민(牧民)’에 나오는 말이다. 위 말은 인간생활의 기초가 되는 먹고 입는 것이 해결돼야 사람이 예의와 염치를 알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목민’은 ‘목민심서’의 지방관과는 달리 백성을 다스리는 군주를 말한다. ‘관자’의 목민 편은 예(禮)·의(義)·염(廉)·치(恥)가 국가를 지탱하는 네 밧줄이라 했다. 통치자가 해야 할 가장 큰 덕목은 물질적 기반 위에 인륜도덕을 수립하는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史記)’의 ‘화식열전’에서 ‘관자’의 위 말을 인용했다. ‘관자’와 ‘사기’는 공통으로 물질 기반 위에 사회윤리가 성립한다고 보았다.

‘관자’는 전국시대 제나라 명재상 관중(?~BC 645)이 지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제나라 지역 관자학파가 핵심 부분을 저술하고, 그 뒤 여러 단계에 걸쳐 추가로 집성했다는 것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조선 시대에도 ‘관자’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관자’는 국가 재정·군비를 강화하려는 실제 정치의 지침을 담은 책이기 때문이다. 정조는 세손 때 경희궁 주합루(宙合樓)에서 공부했다. ‘주합’은 ‘관자’의 편명(篇名)에서 따온 것으로, ‘우주(宙)와 합일(合)된다’는 뜻이다. 역대 왕들이 정치 원리를 ‘관자’에서 참조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허균과 허목, 성호 이익 등의 지식인도 ‘백성을 잘살게 해야 하고, 그래야만 염치를 안다’는 ‘관자’ 주장에 귀기울였다.

‘관자’에는 현재 우리 정치에 대입할 수 있는 발언이 많다. ‘사순(四順)’편에서는 “민심을 그 본성대로 펴나가게 하면 나라가 흥성하고, 민심을 거역하면 나라가 패망한다”고 하였다. 정치란 민심이 어디로 향하는지 정확히 파악하여, 그들이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 주는 데 있다는 것이다. 위정자들이 반드시 새겨들어야 할 말이다. 국민도 각성해야 할 점이 있다. 먹고 사는 게 넘치는 사람이 많은 세상이 됐다. 하지만 정작 예절과 염치는 갈수록 땅에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는 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