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환자, 에어컨·선풍기 바람 얼굴 직접노출 피하세요

정진수 2022. 7. 3. 2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름 눈건강을 위한 슬기로운 생활
눈물 증발 촉진, 이물감·시림 증상 불러
에어컨 1시간만 틀어도 습도 뚝 떨어져
장시간 가동땐 자주 환기 습도 조절해야
반영구화장·렌즈 사용도 건조증 불러
디지털기기 사용땐 자주 눈 깜박이고
돌려 먼 곳 바라보는 등 휴식 필요
보통 ‘안구건조증’이라고 하면 겨울철만 떠올린다. 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안구 건조 증상이 없을 것이란 생각에서다. 하지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살펴보면 큰 차이가 없다. 최근 5년(2017∼2021년)간 안구건조증으로 안과를 찾은 환자는 7∼8월 35만9422명, 36만4513명으로 12월과 1월 34만5760명, 34만8849명에 비해 큰 차이가 없거나 여름철이 오히려 많은 것으로 나왔다. 전문가들은 냉방기기와 스마트폰·PC 등 디지털기기의 사용 증가와 여름철 반영구화장·콘택트 렌즈 사용 등이 여름철 안구건조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바라봤다.

◆‘연중’ 안구건조증 유발 스마트폰 사용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불안정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이물감이나 통증, 눈물 흘림, 눈 시림과 뻑뻑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실내 적정 습도는 50∼60%, 여름철 외부의 습도는 70∼85%를 웃돈다. 하지만 실내는 사정이 다르다. 무더위에 에어컨을 한 시간만 틀어도 습도는 40% 이하로 뚝 떨어진다. 특히 선풍기와 에어컨 바람을 얼굴로 직접 향하게 하면 눈물 증발이 촉진된다. 이로 인해 통증을 느끼는 시신경은 춥고 건조할 때처럼 자극을 쉽게 느낀다.

또 스마트폰과 PC 등 스마트기기는 이제 안구건조증의 ‘연중 요인’이 됐다. 스마트기기 집중해서 보다 보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든다. ‘눈 깜빡임’은 위와 아래의 눈꺼풀이 만나 눈물을 안구 전체에 도포하고 안구 표면을 닦아주는 동시에 항균작용을 하는데,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면 눈물막에 영향을 미치고 눈물이 쉽게 증발한다.

고경민 김안과병원 각막센터장은 “에어컨과 선풍기 등 냉방기기 사용 시 바람을 정면에서 쐬는 것을 피하고, 장시간 에어컨을 틀어야 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환기해 실내 습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고 센터장은 또 “평상시 디지털기기를 사용할 때는 주기적으로 눈을 깜빡이고 화면에서 눈을 돌려 먼 곳을 바라보는 등 의도적으로 눈에 휴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외모 위해 반영구화장, 렌즈 사용도 원인… 하드렌즈 착용을

여름철 ‘외모 가꾸기’가 안구건조증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수영장에서 화장을 다시 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아이라인 반영구화장을 하거나, 안경 대신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아이라인 반영구화장은 눈꺼풀의 속눈썹 사이 피부에 색소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원칙적으로 피부 바깥층에 색소를 주입해야 하지만 종종 피부 깊이 색소가 침투하면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기능을 담당하는 마이봄샘이 손상될 수 있다. 이렇게 눈물이 눈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고 빠르게 증발해 버리며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눈물 약을 넣어도 잠시만 증상이 호전될 뿐, 바로 다시 불편해지는 경우에는 마이봄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리피뷰(LIPIVIEW)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렌즈도 가급적 소프트렌즈보다는 하드렌즈 착용을 하는 것이 좋다. 소프트렌즈는 하이드로겔(친수성 고분자), 실리콘 하이드로겔과 같이 수분 함량이 높고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착용감은 좋지만 수분을 흡수하는 만큼 증발도 잘된다. 주변 환경이 건조하거나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는 안구건조증이 유발될 수 있다. 게다가 재질이 부드러워 찢어지기 쉽고 주변 물질이 잘 붙어 각종 오염물질이 렌즈에 묻어 세균 감염의 위험성이 있다. 특히, 산소투과율이 낮은 일부 제품은 충혈과 각막부종을 유발할 수 있어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반면 하드 렌즈는 재질은 유리, 아크릴수지와 같이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는 단단한 소재다. 또 비교적 작고 눈물층 위에 살짝 떠 있어 눈물 순환과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해준다. 장시간 착용해도 자극이 적어 각막이나 결막에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셈이다. 파손 가능성이 낮아 사용 기간도 평균 2∼3년으로 긴 편이다. 다만 단단한 소재이기 때문에 착용 초기에는 착용감이 불편해서 적응 기간이 필요하다.

고경민 센터장은 “소프트렌즈와 하드렌즈 모두 장단점이 있다”면서도 “하드렌즈는 불편하다는 인식이 있어 많은 사람이 거부감을 가지고 바로 소프트렌즈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눈 건강을 우선시한다면 하드렌즈를 먼저 시도해보는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