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조선업 '10년 불황' 그늘..물 들어왔는데 노 저을 사람이 없다

문광민 2022. 7. 3. 17: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래 대비 못하는 K-조선
2016년 조선업 최악 암흑기
수주 절벽에 대거 구조조정
하반기 건조작업 본격화 불구
숙련 기능직, 노동강도 높고
임금 매력도는 낮아서 외면

◆ 조선업 현장점검 (上) ◆

최근 들어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 특수'를 누리고 있다. 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선박에 대한 수요가 줄고, 대안으로 삼은 해양플랜트산업까지 유가 하락으로 발주가 끊기면서 겪은 10년여의 불황을 털어내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속사정은 다르다.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인재들이 조선업계를 외면하고 있고, 당장 수주 물량에 대한 건조 작업을 맡을 기능공의 경우 조선소에 일손이 모자라다는 소식에도 시큰둥한 반응이다. 장기간 지속된 불황으로 조선업계는 다른 산업 현장에 비해 처우가 낮고, 불황·호황에 따른 온도 차가 커 고용 안정성이 낮은 탓이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눈앞의 일감을 소화할 인력도,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인재도 없다. 이들을 조선소로 끌어들일 만한 특별한 유인책마저 없다. 이게 K-조선의 현주소"라며 "조선시장이 회복기를 넘어 안정기에 접어들고 나면 조선업계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그때까지 국내 조선업계가 지금 수준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위기감이 높다"고 말했다.

3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는 '불황 터널'을 지나는 동안 설계와 연구·개발 인력을 대폭 감축했다. 설계 직무에 종사하는 직원은 2015년 1만8643명에서 지난해 5236명으로 72% 줄었고, 같은 기간 연구·개발 인력은 1772명에서 1283명으로 28% 줄었다. 수주 급감으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조선업계가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두뇌' 역할을 맡을 핵심 인력을 대규모로 감축한 결과다.

2016년은 국내 조선업계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로 꼽힌다. 2007년 한 해에만 3210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에 달했던 국내 조선업계 전체 수주량은 2016년 224만CGT로 쪼그라들었다. 2008년 6725만CGT에 달했던 총 수주잔량은 2017년 1798만CGT로 떨어졌다. 근근이 버티던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 업체가 법정관리에 내몰렸다. '수주절벽'에 처하자 조선 3사도 희망퇴직을 실시해 사람들을 내보냈다.

지난해 국내 조선업계는 총 1749만CGT를 수주하며 수주잔량이 2950만CGT로 늘어났다. 조선사별로 대략 2~3년 치 건조 물량을 쌓아둔 상태다.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고도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안심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경기 순환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계 특성을 고려하면 언제든 이 같은 수주 특수가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김용환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한국 조선산업은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업계에선 이 같은 위상에 걸맞은 역량을 가진 사람들이 조선소로 들어오기를 희망한다"며 "국내 조선업계는 지난 5~6년간 대규모 구조조정을 거쳤다. 인재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선 조선업계가 이 같은 과거 이미지를 불식시키는 게 현재로선 대단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선소 현장은 먼 미래를 내다볼 여력이 없다. 지난해 수주한 선박들에 대한 건조 작업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생산인력 부족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질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연말까지 조선소 현장에 용접공·도장공을 포함해 9500여 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선사들과 협력사들은 생산 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구인 공고를 내고 있지만 구직자들 반응은 미지근하다. 과거에 비해 조선소가 직장으로서 가지는 매력도가 떨어진 탓이다. 기능인력 입장에선 임금 수준이 특별히 높지도 않는데 조선소에서 일하면서 높은 노동 강도, 언제 다시 구조조정이 있을지 모른다는 불안감 등을 감수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울산·거제·영암 등 주요 조선소 소재지의 지방자치단체들도 신규 인력 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신규 인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었지만 조선소 기피 현상 때문에 사람을 구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올해 5월 기준 조선 3사의 직영·사내협력업체 기능직 인력은 6만3227명으로, 최근 5개월 사이 102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당장 일손이 급한 용접공·도장공을 채용하기 위해 정부는 상시근로자 300인 이하 조선사 협력업체들을 대상으로 외국인 채용의 문턱을 낮췄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한숨을 쉰다.

생산인력 수급난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업계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업계는 사내협력사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제외를 요구하고 있다.

[문광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