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도 상반기 '손실의 늪'..ETF는 10개 중 8개 마이너스

성상훈 2022. 7. 3. 17: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상반기 대부분의 펀드가 유형과 관계없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주식형 펀드 전체의 올해 초부터 지난 1일까지 평균 수익률은 -23.74%였다.

러시아 주식 펀드의 수익률은 -60.93%로 만약 올해 초 투자했다면 투자액의 절반도 건지지 못했다.

해외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은 -8.85%로 국내 채권형 펀드보다 손실이 더 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형 펀드
상반기 수익률 -23%
해외 주식형도 -16%
농산물·에너지 등
일부 ETF만 선방

올해 상반기 대부분의 펀드가 유형과 관계없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지수펀드(ETF)는 10개 중 8개가 손실을 봤다.

3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주식형 펀드 전체의 올해 초부터 지난 1일까지 평균 수익률은 -23.74%였다. 국내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5.05%, 펀드매니저의 재량에 따라 투자하는 액티브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20.78%였다.

해외에 투자하는 상품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기간 해외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16.92%였다. 북미(-21.94%) 유럽(-15.11%) 일본(-8.44%) 중국(-7.77%) 등 세계 어디에 투자해도 마이너스 수익을 벗어날 수 없었다. 러시아 주식 펀드의 수익률은 -60.93%로 만약 올해 초 투자했다면 투자액의 절반도 건지지 못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의 같은 기간 수익률은 평균 -2.43%였다. 국공채 펀드는 -4.9%, 회사채 펀드는 -1.83%였다. 해외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은 -8.85%로 국내 채권형 펀드보다 손실이 더 컸다. 신흥국 채권 펀드는 -17.29%의 수익을 기록했다.

ETF는 수익률 집계가 가능한 531개 상품 중 449개(84.55%)가 마이너스였다. 에너지, 농산물, 원자재 등 일부 테마를 제외하곤 대부분이 손실을 피하지 못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