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잿값 급등 속 계속된 '파업'.. '언제 끝나나' 속 타는 레미콘社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레미콘 업체들 사이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달 민주노총 화물연대 총 파업으로 레미콘 업체들이 직격탄을 입은 데 이어 이달 들어서 또 수도권 레미콘 운송 차주들의 '운송 거부'(파업) 사태가 현실화하면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5년 간 수도권의 경우 레미콘 가격이 약 10% 오른 반면 운송비는 30% 이상 뛰었다"며 "업체들이 느끼는 운송비 인상 부담이 크지만 상대적으로 업체들이 더 답답한 입장인 탓에 차주 의견을 많이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운송비 인상 등 협상에도 낙관·비관 전망 팽팽
레미콘 업체들 사이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달 민주노총 화물연대 총 파업으로 레미콘 업체들이 직격탄을 입은 데 이어 이달 들어서 또 수도권 레미콘 운송 차주들의 ‘운송 거부’(파업) 사태가 현실화하면서다. 특히 노동계가 현 정부와 노동 정책 방향을 두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어 레미콘 운송거부 사태가 길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운송노조 소속 수도권 조합원들은 지난 1일 서울 광화문에서 생존권사수결의대회를 열고 운송 중단에 들어갔다. 레미콘 업체들과 운송비 인상 등을 비롯해 여러 사안을 두고 협상을 벌였으나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날 양측은 다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지만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낙관론과 비관론이 크게 엇갈린다.
운송 차주들의 요구는 △회당 운송비 27%인상(5만6000원→7만1000원) △요소수 100%지급(월 6만원 상당) △회수수(폐수처리비) 50%지급 △근로시간 면제수당(타임오프) 보장 △명절 상여금 100만원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우선되는 쟁점은 단연 운송비 인상폭이다. 차주들의 주장과 달리 업체들은 당초 물가상승률 수준인 5%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하지만 업체들은 차주들의 의견을 일부 수용해 9~10% 인상안을 수정 제시했다. 아울러 내년에도 약 10%의 인상 수준을 적용하겠다며 차이를 좁혀갔다. 대신 업체들은 운행시간을 기존보다 2시간 늘릴 것과 함께 70세 이상 고령자 운행제한 등을 내걸었다. 차주 측 역시 이 부분에 대한 검토와 함께 의견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5년 간 수도권의 경우 레미콘 가격이 약 10% 오른 반면 운송비는 30% 이상 뛰었다”며 “업체들이 느끼는 운송비 인상 부담이 크지만 상대적으로 업체들이 더 답답한 입장인 탓에 차주 의견을 많이 받아들인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 인정 여부 또한 주된 쟁점이다. 차주들은 ‘노동자성’과 함께 노조를 공식 인정하라고 주장하지만 업체들은 불가 입장을 유지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운송 차주 중 일부는 코로나19 지원금도 받는데 무슨 노동자가 될 수 있나”라며 “지금 벌어지는 운송 거부 사태도 개인 사업자들의 단체 행동으로 엄연한 불법 행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업체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는 가운데 두 달 연속 운송 분야에서 리스크가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하루 평균 약 500억 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한다. 이번 운송 거부 사태 역시 첫날인 1일 당시 수도권에 위치한 대부분의 공장이 운영을 중단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수도권에 위치한 레미콘 공장이 사실상 멈춘 상태”라며 “장마철이라 비수기라는 점을 감아하더라도 업체들은 이번 사태로 적지 않은 피해를 입게 된다”고 말했다.
업계는 특히 사태가 장기화 되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이달 들어 노동계가 강경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더 걱정스럽다는 반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운송비 인상과 관련해선 일정 부분 의견을 좁혀가고는 있지만 아직 섣부르게 낙관적으로 예상할 수 없다”며 “상황이 악화할수록 그 피해는 오로지 사업체들로 향한다”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kingear@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우 김지수 '11년전 골수 기증한 고딩 결혼…기적 감사'
- 일본 AV배우 실종…나체로 나무에 묶여 숨진 채 발견, 무슨일?
- 文, 더 덮수룩한 흰수염…김한규 '욕설시위로 고통'
- '사인 불명' 유나양 가족…'마지막 5분' 대화 복원한다
- 원숭이두창, 어린이도 감염됐다…'9월까지 100만명 발생'
- '남 일 아니다' 하루 3700명 남성 '이 병'에 병원 찾는다 [헬시타임]
- '월화수목일일일'…무제한 휴가에 주 4일 근무, 이 기업 어디?
- 직장인들의 낙, 퇴근 후 ‘편맥’이 통풍 위협한다[일터 일침]
- 김건희 여사 첫 외교 무대…옷깃엔 항상 '이 배지' 달았다
- '거스름돈 100원 때문에'…버스 기사에게 소화기 분사한 2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