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유 재고 급증에 놀란 인도네시아 "수출물량 늘릴 것"

김영현 2022. 7. 2. 13: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도네시아가 시장 규제로 인해 자국 내 팜유 재고량이 급증하자 수출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선임 장관인 루훗 판자이탄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국내 판매량의 5배로 묶었던 팜유 업체의 수출 물량 한도를 전날부터 7배로 높여달라고 통상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출 규제를 완화하기로 한 것은 최근 자국 내 팜유 재고량이 크게 늘고 팜유의 원료인 기름야자 열매 가격은 급락했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디젤 내 팜유 비율 확대도 검토
팜오일 원료인 기름야자 열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인도네시아가 시장 규제로 인해 자국 내 팜유 재고량이 급증하자 수출 물량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네시아 선임 장관인 루훗 판자이탄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국내 판매량의 5배로 묶었던 팜유 업체의 수출 물량 한도를 전날부터 7배로 높여달라고 통상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팜유 국제가격 상승을 이유로 도입했던 수출 규제를 어느 정도 풀겠다는 뜻이다.

팜유는 식용유뿐 아니라 라면, 과자, 초콜릿 등 여러 식품과 화장품, 세제 등의 원료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출 규제를 완화하기로 한 것은 최근 자국 내 팜유 재고량이 크게 늘고 팜유의 원료인 기름야자 열매 가격은 급락했기 때문이다.

세계 팜유 생산량의 60%가량을 차지하는 인도네시아는 식용유 대란이 이어지자 지난 4월 팜유 수출 금지 조처를 내렸고 한 달 만에 다시 수출 재개에 나섰다.

다만 수출을 위해서는 일정 비율만큼 국내 공급 물량을 유지해야 하는 국내 공급 의무화 정책은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재고량이 급증하면서 팜유 원료인 기름야자 생산 농가에 큰 타격이 발생한 상태다.

인도네시아 팜유 협회(GAPKI)에 따르면 지난 4월 팜유 수출량은 208만9천t으로 1년 전보다 20% 넘게 줄었다. 반면 4월 말 기준 재고량은 610만3천t으로 1년 전보다 90% 가까이 증가했다.

루훗 장관은 팜유 재고 소진을 위해 바이오디젤 내 팜유 비율을 현재 30%에서 35∼40%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2018년 9월부터 경유에 팜유원유(CPO) 20%를 섞어 만든 바이오디젤 'B20'을 모든 경유 차량과 기계류에 사용하도록 의무화했다.

2020년부터는 팜유원유가 30% 섞인 'B30' 사용을 세계 최초로 의무화한 상태다.

cool@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