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 떨어진 곳서 코로나 첫 발생"..북한, 남한 탓하며 정치적 문제화
북한은 1일 코로나19 최초 발생 지역이 남측과 접경지역인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남측에서 살포한 대북전단이 코로나19 발병 원인임을 시사했다. 통일부는 “전단 등을 통한 유입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가비상방역사령부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4월 중순경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 지역에서 수도로 올라오던 여러명의 인원들 중에서 발열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이들과 접촉한 사람들 속에서 유열자들이 급증했고 이포리 지역에서 처음 유열자들이 집단적으로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금강군 이포리는 남측의 강원 인제군 서화면·양구군 해안면과 접해 있는 남북 접경 지역이다.
통신은 “4월 초 이포리에서 군인 김모(18세)와 유치원생 위모(5세)가 병영과 주민지 주변 야산에서 색다른 물건과 접촉한 사실이 밝혀졌다”며 “이들에게서 악성비루스(바이러스) 감염증 초기증상의 임상적 특징들이 나타나고 항체검사에서도 양성 판정됐다”고 전했다.
북한이 명시적으로 남측 대북전단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풍선’ ‘색다른 물건’ 등 표현으로 볼 때 대북전단과 함께 유입된 물품에서 코로나19가 유입됐음을 시사한다. 남측에 책임을 떠넘겨 ‘최대비상방역체계’라는 국가적 위기를 남북 간 정치 문제로 치환하려는 노림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만약 남측에 책임전가를 결정한다면 조만간 정치국 회의를 거쳐 김여정 당 부부장 담화를 시작으로 통일전선부, 방역사령부, 군부 등으로 몰아치기식 담화전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전단 등을 통한 북측으로의 코로나바이러스 유입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경찰, 서울서부지법 7층 판사실 침입한 40대 남성 구속영장 신청
- [사설]윤석열의 ‘헌재 궤변’, 헌법·법치 농락이다
- [속보]윤석열 “국회와 언론은 대통령보다 갑…계엄 해제 막는다고 안 막아져”
- 김성훈 경호처 차장 “대통령 생일잔치 당연···3행시는 한 코너”
- 비상입법기구 쪽지 누가 줬나…“김용현 합참에 있었다, 줄 수 있는 사람은 대통령뿐”
- 대통령실 행정관 “헌재 향하는 모든 곳서 대통령님 응원을” 지지자 결집 유도
- 삼엄한 경계에 막힌 윤 지지자들, 윤석열 헌재 등장하자 “파이팅!”
- [속보] 윤석열 측 “포고령은 김용현이 작성한 것…실행 계획 없었다”
- “김해엔 빨갱이 많다” 국민의힘 김해시의원들 집회 발언 파문
- [속보]윤 대통령 “최상목에게 비상입법기구 편성 쪽지 준 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