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치솟는데..쌀값은 '나락'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4%나 상승했다. 이는 2008년 8월(5.6%) 이후 13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었다. 농축수산물의 상승률도 4.2%에 달했다. 감자는 32.1%나 가격이 상승했고, 배추도 24% 올랐다. 돼지고기(20.7%), 닭고기(16.1%)도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가격이 껑충 뛰었다.
물가가 치솟고 있는 가운데 유독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품목이 있다. 한국인의 주식인 쌀이다. 국내 산지 쌀 판매가격은 지난해 수확기 이후 지속해서 떨어져 최근 45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고물가에도 거꾸로 가고 있는 쌀값에는, 1인당 하루 소비량이 스마트폰 정도인 155g에 불과한 쌀의 현실이 녹아 있다.
전남도는 1일 “지난해 수확기(10∼12월)와 비교했을 때 6월 쌀값이 통계를 관리하기 시작한 이후 45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쌀 가격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5월 국내 쌀 산지 평균 가격은 20㎏ 기준 4만6741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5만5861원)과 비교해 16.3% 하락했다고 밝혔다. 농촌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전국 산지 쌀 가격 추이를 보면 지난해 수확기 20㎏ 기준 5만3535원이었던 쌀 가격은 지난 1월 5만778원으로 내려갔고 3월에 4만9747원으로 떨어지는 등 내림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가격이 내려갔지만 산지 유통업체의 쌀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10% 이상 줄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쌀 판매량은 51만4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만7000t(11.6%) 감소했다. 쌀 재고량은 크게 늘었다.
쌀값 하락에는 한국인의 주식이던 쌀의 달라진 위상이 녹아 있다. 국내 쌀 소비량은 30년 만에 거의 반으로 줄었다. 통계청이 조사한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을 보면 1990년 한국인은 1인당 연간 119.6㎏의 쌀을 먹었다. 2001년 88.9㎏, 2006년 78.8㎏, 2012년 69.8㎏으로 감소한 쌀 소비량은 2019년(59.2㎏)부터 1인당 연간 소비량이 50㎏대로 내려왔고 2021년 56.9㎏을 기록했다. 1인당 1일 쌀 소비량 역시 통계를 다시 작성하기 시작한 1997년 280g에서 지난해 155.8g으로 줄었다.
전남도는 쌀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 사고 안 먹고 버틴다…빈곤층에 더 가혹한 ‘고물가’
- “고물가에 직원들 생활비 위기”…급여인상 나서는 글로벌 기업들
- “정신 재무장” 지시에···일선 경찰 “X같이 부려먹더니” 폭발
- 발목뼈 뚫고 나왔는데 소량의 혈흔…아내를 죽인건 남편이었다
- 40대 개그맨, 택시기사에 행패 징역형
- 일본 “제주도 훈련 참가 자위대 함정에 욱일기 게양”
- ‘항공기 비상구 강제 개방’ 승무원들 제지 못한 까닭은
- 대구 가던 항공기 상공서 승객이 문 열어, 9명 병원 이송
- 이재명, ‘식사 회동’ 제안 김기현에 “밥·술 먹는 것 친구분들과 하라”
- 버림받은 지상파 드라마···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