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못쓴 분산투자..상반기 펀드甲은 '인버스'

고재연 2022. 7. 1.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산을 6 대 4로 나눠 주식과 채권에 분산 투자하라.'

자산배분 펀드들이 고전하는 동안 인버스펀드는 평균 34.67%라는 압도적 수익률을 보여줬다.

편득현 NH투자증권 WM마스터즈 전문위원은 "주식과 채권의 동반 하락은 수십 년 만에 한 번씩 발생하는 일로, 자산배분 펀드의 구조를 무너뜨릴 만한 정도는 아니다"며 "역사적으로 자산배분 펀드가 연평균 7% 수익률을 보장했다는 점에서 한 해 성과를 보고 상품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식·채권 이례적 동시 폭락
자산배분 펀드들 체면 구겨
'다올KTB글로벌EMP' 14%↓
하락 베팅 인버스 펀드만 '高高'
'KODEX200곱버스' 54% 수익

‘자산을 6 대 4로 나눠 주식과 채권에 분산 투자하라.’

지난 상반기 ‘시장의 교과서’처럼 여겨졌던 자산 배분 원칙이 깨졌다.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폭락하는 이례적 상황이 연출됐기 때문이다. 상반기 S&P500지수는 21% 떨어졌다.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미국 10년물 국채 가격도 같은 기간 10% 하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주식과 채권이 이처럼 큰 폭으로 동반 하락한 것은 1976년 이후 46년 만에 처음이다.

펀드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락장에서 주식형·채권형 펀드는 물론 자산배분 펀드도 맥을 못 췄다. 대신 자산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펀드만 살아남아 투자자에게 높은 수익을 안겨줬다.

 체면 구긴 자산배분펀드


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국내주식형(-23.74%) △국내혼합형(-8.40%) △해외주식형(-16.92%) △해외혼합형(-11.01%)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모두 마이너스였다. 하락장의 대안으로 평가받았던 자산배분형 펀드도 다르지 않았다. 평균 수익률이 -12.15%였다.

대표적 자산배분형 펀드 중 하나가 타깃데이트펀드(TDF)다. TDF는 은퇴 목표 시점에 따라 위험자산(주식)과 안전자산(채권) 비중을 조절하는 상품이다. 문제는 주식과 채권이 동반 하락하면서 자산 배분이 큰 의미가 없었다는 점이다. 2025년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 배분 비중을 조절하는 ‘삼성한국형TDF2025’가 지난 상반기 -14.75%, ‘한국투자TDF알아서2025’가 -13.53%,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25’가 -9.56%로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자산군별 상장지수펀드(ETF)에 분산투자해 초분산투자펀드로 불리는 EMP펀드도 상황은 비슷하다. 설정액이 4000억원에 달하는 IBK플레인바닐라EMP(-11.20%)와 다올KTB글로벌멀티에셋인컴EMP(-14.18%)는 큰 손실을 봤다.

 살아남은 인버스펀드

자산배분 펀드들이 고전하는 동안 인버스펀드는 평균 34.67%라는 압도적 수익률을 보여줬다. 코스피200지수가 하락할 때 두 배로 수익을 내는 ‘KODEX200선물인버스2X ETF’는 지난 상반기 54.59%의 수익을 냈다. 코스닥150지수의 일일 등락 폭을 반대로 추종하는 ‘KODEX코스닥150인버스 ETF’의 수익률도 33.19%에 달했다.

채권도 비슷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이달 들어 연 3.48%까지 상승하면서 2011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채권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ETF들의 수익률이 급등했다. 채권은 금리가 오르면 가격은 떨어진다. ‘KBSTAR미국장기국채선물인버스2X ETF’는 32.83% 수익을 거뒀다.

전문가들은 자산배분펀드가 ‘10전10승’할 수는 없지만 ‘10전 8승’은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편득현 NH투자증권 WM마스터즈 전문위원은 “주식과 채권의 동반 하락은 수십 년 만에 한 번씩 발생하는 일로, 자산배분 펀드의 구조를 무너뜨릴 만한 정도는 아니다”며 “역사적으로 자산배분 펀드가 연평균 7% 수익률을 보장했다는 점에서 한 해 성과를 보고 상품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