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가니 폭염..서울시 '폭염 종합지원실' 가동
폭우가 가고 폭염이 찾아왔다. 서울시는 1일 서울 전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됨에 따라 ‘폭염 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기로 했다.
이날 오전 11시 현재 서울 전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됐다. 이는 지난 6월 25일 서울 동남·서남권 폭염주의보 발령 이후 7일 만으로, 기상청은 4일까지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울시는 폭염 종합지원상황실을 즉시 가동하고 자치구, 유관기관과 협업해 시민 보호에 나선다. 서울시 폭염 종합지원상황실은 폭염특보에 따른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운영된다.
현재 서울시는 횡단보도 그늘막 2885곳를 포함해 쿨링포그, 쿨링로드 등 총 4225곳 폭염 저감시설을 설치·운영 중이다. 8월까지 그늘막, 스마트쉼터 등 201곳을 추가해 폭염 저감시설을 4426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폭염특보가 발령되면 폭염 속 도시 열섬화 방지를 위해 도심지 살수와 도로 물청소를 확대 실시한다. 서울시는 도심지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 시청역, 종로3가역 등에 설치된 13곳 살수시설(쿨링로드)을 (초)미세먼지 특보나 폭염 특보시 최대 3~5회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에는 제한적으로 운영됐던 어르신 무더위쉼터를 올해는 경로당, 복지관, 동주민센터 등 4038곳을 지정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이중 587곳은 폭염특보 발령 시 운영시간을 밤 9시까지 연장 운영한다. 열대야로 잠을 이루기 어려운 홀몸, 고령부부 등 저소득 어르신을 위한 ‘안전숙소’(18개 자치구 운영, 51곳)는 자치구 및 동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이용할 수 있다.
폭염피해 사각지대인 쪽방촌과 거리 노숙인 보호도 강화한다. 노숙인 무더위쉼터(총 10곳)는 노숙인 이용자의 건강관리를 지원하며 24시간 운영한다. 노숙인을 위한 이동 목욕 차량도 4곳에서 운영한다. 쪽방촌 무더위쉼터(실내 12곳, 야외 2곳)도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운영한다.
서울시는 또 폭염에 따른 실직, 휴폐업 등으로 일시적 위기에 처한 가구에는 ‘서울형 긴급복지’를 통해 생계비, 냉방용품, 전기요금 등을 가구당 최대 300만원 지원한다. 폭염특보시 25개 자치구 2만7794명 재난도우미가 안부전화·방문·IoT를 활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독거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건강과 안전을 살핀다.
백일헌 서울시 안전총괄관은 “지구온난화에 따라 여름철 폭염일수가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른 온열질환자도 증가하는 추세”라며 “시민들도 폭염 시 야외활동 및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는 등 행동요령을 잘 숙지해 무더위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 혼자 산다…월셋집에서 배달음식 먹으며
- 홍준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민주당이 죽 쑤는데도 국민의힘이 밀리고 있어서 유감”
- 블랙핑크 벗고 싶었나…리사, 19금 카바레쇼 ‘외설 논란’
- 김기현 “판사는 이재명 대표가 ‘유죄’라고 판결했다”
- 무단 월북 뒤 추방 트래비스 킹 “집으로 돌아가게 돼 행복”
- 장동혁 “‘위증교사 사건’ 없었다면 이재명 대표 대선후보·당 대표 되는 일도 없었을 것”
- [단독]‘김건희 여사 논문’ 질의 피하려?···국민대 이사장, 사비로 미국 출장 43일 연장
- 이준석 “이재명 영장 기각, 민주당이 한동훈 장관 탄핵 들어갈 것”
- [속보] 법원,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집행정지 신청 기각
- 북한 최선희, 1300만원짜리 구찌백... 현송월은 만원짜리 중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