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우리생물] 바다에 꽃을 피우는 '꽃갯지렁이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릉도 어느 바다, 한 무리의 스쿠버다이버들이 바닷속 여러 생물을 관찰하고 있었다.
갯지렁이 하면 우리는 일반적으로 갯벌이나 조하대 바닥을 자유롭게 기어 다니는 자유생활형 갯지렁이를 생각하지만 바닷속 바위의 부착생물 틈이나 모래바닥에 몸을 고착한 채 살아가는 고착형 갯지렁이도 다양한 종이 서식하고 있다.
우리 바다에도 다양한 종의 꽃갯지렁이류가 서식하고 있지만 이 생물을 연구하려면 스쿠버다이빙 기술이 필요해 다른 갯지렁이보다 종다양성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갯지렁이 하면 우리는 일반적으로 갯벌이나 조하대 바닥을 자유롭게 기어 다니는 자유생활형 갯지렁이를 생각하지만 바닷속 바위의 부착생물 틈이나 모래바닥에 몸을 고착한 채 살아가는 고착형 갯지렁이도 다양한 종이 서식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게 꽃갯지렁이목(Order Sabellida)에 속하는 종들이다.
이들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집을 짓고 사는 것인데, 꽃갯지렁이과의 경우 가죽과 같이 질긴 관 형태의 집을 짓고 그 속에 몸을 숨긴 채 살아간다. 이런 특징으로 꽃갯지렁이류는 먹이 활동을 위해 이곳저곳 이동하는 게 불가능하다. 고착한 상태에서 수많은 촉수를 집 밖으로 내밀고 수중에 떠다니는 작은 생물이나 유기물을 촉수에 부착시킨 후 입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친다. 먹이 활동을 위해 촉수가 집 밖으로 온전히 나와 있을 때의 모습이 마치 수중에 활짝 핀 꽃처럼 보여 ‘꽃갯지렁이’란 이름이 붙었다.
우리 바다에도 다양한 종의 꽃갯지렁이류가 서식하고 있지만 이 생물을 연구하려면 스쿠버다이빙 기술이 필요해 다른 갯지렁이보다 종다양성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다. 본격적 연구를 시작하면 새로운 종이 많이 발견될 것으로 예상한다.
야외활동이 자유로워진 여름이다. 올여름 레저 활동으로 스쿠버다이빙을 할 기회가 된다면 바닷속 활짝 핀 꽃갯지렁이류를 찾아보자. 단, 조심스레 접근하지 않으면 활짝 핀 꽃은 집 속으로 자취를 감출 것이다.
박태서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