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등 14개 공기관 '재무위험기관'
자산 매각·인력 재배치 등 구조조정
한국전력공사와 철도공사, 석유공사 등 14개 공공기관이 재무위험기관으로 선정됐다.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된 기관은 앞으로 자산 매각과 사업 구조조정, 인력 재배치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받게 된다.
기획재정부는 30일 최상대 2차관 주재로 제8차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재무위험기관 14곳을 선정했다.
정부는 민간의 신용평가법을 준용해 사업 수익성·재무안정성 지표와 재무성과, 재무개선도 등 측면에서 각각 점수를 매겨 최종 점수(만점 20점)를 산출했다. 이 가운데 재무상황평가 점수가 14점(투자 적격 등급) 미만이거나 부채비율이 200% 이상인 기관을 재무위험기관으로 분류했다. 민간 신용평가사 기준으로 보면 ‘투자 부적격’에 해당하는 기관이다.
이 같은 잣대로 선정된 재무위험기관은 총 14곳이다.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과 남동·동서·남부·서부·중부 등 5개 발전 자회사 포함),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9개 기관은 사업 수익성 악화(징후) 기관으로 분류됐다. 석유공사와 광해광업공단, 가스공사, 석탄공사 등 자원공기업과 한국철도공사는 재무구조 전반 취약기관으로 분류됐다. 자원공기업은 재무구조 악화 상황이 장기간 누적된 점을 문제로 봤다. 철도공사는 매출 감소 등으로 부채비율이 크게 높아진 점을 지적했다.
정부는 한전, 발전 6사, 지역난방공사 등 최근 수익성이 악화된 기관 9개와 자원공기업, 철도공사 등 수익성 악화 누적으로 재무구조 전반이 취약한 기관 5개로 구분하여 맞춤관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다음달 중으로 이들 재무위험기관에 대한 5개년간에 걸친 재정건전화 계획을 만들 예정이다. 건전화 계획은 비핵심자산을 매각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V인 줄 알고 계약했더니 1차선을 못달린다고 ··· 픽업트럭 넌 정체가 뭐냐?”
- ‘잠룡’서 ‘자율주행 벤처’ 도전 남경필 “자율주행이 우리를 자유롭게 할 것”
- [경제뭔데]‘슈퍼엔저’의 종말···국내보다 싼 일본여행, 이젠 어렵겠네
- ‘천원주택’ 대박났다···500가구 모집에 3681명 몰려
- 한동훈,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앞두고 “승복은 선택 아니라 당연”
- [속보] 권성동, 윤석열 탄핵심판 “당 공식 입장은 헌재 판단 승복”
- 김병주 MBK 회장 사재 출연···“홈플러스 소상공인 결제대금 지원”
- ‘내돈내산’아니었어? 알고보니 협찬···SNS ‘뒷광고’ 2만건 적발
- 민주당 공약 초안에 ‘정년 연장’ 포함 확인…조기 대선에 민생 이슈 선점
- 고속열차처럼 빠르다…시속 300㎞로 항해하는 선박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