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화' 논란 홍콩 찾은 시진핑.."비바람 겪고 다시 태어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콩의 중국화' 논란 속에 5년 만에 홍콩을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비바람을 겪은 후 홍콩은 고통을 견디고 다시 태어났고, 왕성한 생기를 띠었다"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의 홍콩 방문은 2017년 홍콩 주권 반환 20주년 기념식 참석에 이어 5년 만이자,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 1월 이후 893일 만에 처음으로 중국 본토를 벗어난 행보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홍콩의 중국화' 논란 속에 5년 만에 홍콩을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비바람을 겪은 후 홍콩은 고통을 견디고 다시 태어났고, 왕성한 생기를 띠었다"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과 부인 펑리위안 여사는 7월 1일 열리는 홍콩 주권 반환 25주년 기념식 참석차 30일 오후 전용 열차 편으로 홍콩 서구룡역에 도착했습니다.
시 주석의 홍콩 방문은 2017년 홍콩 주권 반환 20주년 기념식 참석에 이어 5년 만이자,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 1월 이후 893일 만에 처음으로 중국 본토를 벗어난 행보입니다.
시 주석은 먼저 "일국양제는 강력한 생명력을 갖고 있으며 홍콩의 번영과 안정을 확보하고 홍콩 동포들의 복지를 보호할 수 있다"며 "일국양제는 좋은 제도"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등 서방이 '홍콩의 중국화'를 지적하며 '한 국가 두 체제'를 뜻하는 일국양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는 상황에서, 홍콩 방문 첫 일성으로 일국양제를 견지하겠다는 뜻을 밝힌 겁니다.
시 주석은 이어 "우리가 조금도 흔들림 없이 일국양제를 견지한다면 홍콩의 미래는 더욱 아름다울 것"이라며 "홍콩은 반드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위해 더욱 새로운 공헌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홍콩은 과거 한동안 준엄한 시련을 겪었고, 위험한 도전을 이겨냈다"며 "비바람을 겪은 후 홍콩은 고통을 견디고 다시 태어났고, 왕성한 생기를 띠었다"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이 언급한 '비바람'은 2019년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시위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됩니다.
시 주석은 홍콩 컨벤션센터에서 현지 각계 인사 160명을 만난 뒤 홍콩과학공원을 방문했으며, 이후 캐리 람 행정장관이 주최하는 만찬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시 주석은 홍콩 주권 반환 25주년 행사에서 홍콩이 중국의 땅임을 강조하고, 영국에서 중국으로 주권이 반환된 후 홍콩이 번영을 누리고 있다고 강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임경아 기자 (iamhere@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83847_35680.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