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폐기로 환경오염 주범 될라..귀했던 코로나 방역물품 '애물'
정부 "재유행 대비해 보관"
회수·재활용할 대책 마련
코로나19 거리 두기 조치가 해제되면서 방역물품으로 사용해온 투명가림막과 손소독제 등이 대량 폐기될 상황에 놓였다. 정부는 방역물품 집단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 유발을 우려해 물품 회수·재활용 대책 마련에 나섰다.
30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 정부는 지난 22일부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방역물품 처리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각종 규제가 사라지면서 가게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해온 투명가림막과 손소독제, 체온측정기, 태블릿PC 등의 보관·처리 문제가 현안이 됐기 때문이다. 정부 조사 결과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 투명가림막 생산량은 예년에 비해 약 30% 늘었고, 2020년 기준 손소독제를 비롯한 의약외품 생산량은 전년 대비 120% 증가했다.
보건복지부 소속인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가장 문제가 됐던 게 투명가림막이다. (관리를) 자율에 맡겼더니 투명가림막을 보관하지 않고 폐기하겠다는 곳이 생겼다”며 “손소독제는 플라스틱 용기와 내용물을 분리해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환경부와 함께 최소한의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하반기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방역물품을 보관 또는 재활용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세웠다.
투명가림막은 집중적으로 수거해 재활용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정부는 방역당국과 협의해 가림막 수거기간을 정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회수 계획도 수립하기로 했다.
정부는 에탄올 함유량이 높은 손소독제가 다량 배출돼 야기할 수 있는 수질·토양 오염에 대한 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하수처리장의 에탄올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소독제 내용물은 하수구에 버리되 플라스틱 용기는 분리배출하도록 안내하기로 했다. 정부는 방역에 사용된 태블릿PC도 배출되는 양이 늘 것으로 보고 전자제품공제조합 등과 회수 방안을 조율 중이다.
정부는 오는 8월 광역·기초자치단체와 행정안전부, 질병관리청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방역물품 회수·재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합동 회의를 연다.
강연주 기자 play@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연세대 외숙모 의대 교수 이름…“연구부정은 아니다”
- 서울 두발 단속·일제 소지품 검사 부활하나
- ‘개그콘서트’가 돌아온다
- 커터칼로 택시 44대 뒷좌석 ‘쓱’···왜 그랬나 물으니
- 이런 실수…‘고향사랑기부금’ 낸 손흥민, 세액공제 못 받나
- ‘진짜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쇼 촬영 중 3명 부상
- 집집마다 난방비 폭탄···“이 고지서가 맞아?”
- “자퇴하고 의대 갈래요” SKY 이공계 중도탈락 3년 만에 60% 급증
- 새마을금고를 보면 보인다, 한국이 왜 ‘갑질 지옥도’ 되는지
- 중국도 일본도 최강 한파···중국은 사상 최저 영하 53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