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K] '조선팝', 국악의 멋과 흥, 더 친숙하게!
[KBS 전주] [앵커]
'문화K' 시간입니다.
'조선팝', 여전히 낯설지만 이제 조금 귀에 익기도 한 말이죠.
국악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목해 새로운 K-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데요.
소리의 고장 전주에서, 이 '조선팝' 상설 공연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김종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홍타령' : "꿈이었나, 꿈이었나, 꿈이었나..."]
청아한 소리가 고즈넉한 저녁 하늘로 울려 퍼집니다.
['자유악당' : "무심히 나는 두렵지 않네. 들과 비와 꽃이 전하는..."]
소리꾼의 소리는 클래식기타, 바이올린 선율과 어우러져 마음을 흔듭니다.
[춘향가 중 '어사출두' : "암행어사 출두야. 암행어사 출두야."]
고수의 북 대신 건반과 금관 악기의 경쾌한 리듬이 판소리를 끌어갑니다.
여름밤, 색다른 경험에 즐거운 시간을 보낸 관객들.
[김보경/경기도 남양주시 : "우리 민요랑 현대악기랑 같이 어우러져서 공연을 한거잖아요. 그래서 더 흥미롭고 좋았어요."]
[박서윤/전주시 송천동 : "피아노하고 판소리 조합을 처음 봐가지고 너무 좋은 것 같았어요."]
이렇게 관객들에게 한걸음 다가서기가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김지현/'로우위드소리' 단원 : "국악은 악보가 없다 보니까, 저희가 준비하는 과정에서 악보 구하는게 제일 어려웠고요. 편곡하는 과정에서도 서양악기와 국악기는 아무래도 다른 점이 너무 많아서..."]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지."]
판소리가 리듬감 넘치는 가요로 변신했습니다.
1990년 창단해 30년 넘게 퓨전국악을 해온 이 팀도 관객들과 함께 즐기는 공연을 위해 열심히 연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퓨전국악에 빠진 청년 예술가들은 이른바 '조선팝'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요?
Q. '조선팝'이란?
[이희정/'나니레' 대표/소리 : "조선팝이라는 것은 국악이 전반이 돼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비율로 따진다면 70퍼센트가 국악이 돼야 곡의 완성도나 보여드렸을때, 대중들이 딱 판단했을때 아 이거는 국악이구나 라는걸 느껴졌을때 이게 조선팝이지..."]
Q. 앞으로 추구하는 음악은?
[김영진/'나니레' 단원/타악 : "제가 추구하고자 하는 음악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음악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무대에 서는 연주자들, 무대가 완성되기까지 도와주시는 관계자 분들, 특히 무대를 찾아와주시는 관객 여러분들께서 같이 즐기고 같이 소통하고 같이 무언가를 공감할 수 있는 그런 음악들을 하고자 합니다."]
6월과 7월, 두 달 동안 매주 토요일마다 관객들을 만나는 '조선팝 상설 공연'.
모두 10개 팀이 참여해 하루에 세 팀씩 공연하는데, 7월에는 혁신도시 기지제 수변공원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환입니다.
김종환 기자 (kjh@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완도 실종 일가족 1차 부검, 사인 불명”…블랙박스가 열쇠
- ‘시간당 100mm’ 폭우 퍼부은 장마전선…3호 태풍 ‘차바’도 발생
- [현장영상] 수원 권선구 중고차 매매단지 침수…차량 100여 대 피해
- 퇴직 경찰서장 무면허 뺑소니 입건…“음주 측정도 안 해”
- “태양광 설치” 계약금 받고 잠적…70여 명 20억 원 피해
- 인형 뱃속에 무언가?…택배기사가 고객 정보로 마약 밀수
- 불법체류 외국인 흉기 들고 활보…시민 공포
- “VIP 투자 리딩방 초대합니다” 130명이 70억 원 날려
- ‘예산편성권’ 서울시 손 들어준 대법원…“교육예산 축소 불가피”
- 임윤찬 “우승했다고 실력 더 좋아진 건 아니다…더 연습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