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물가 넘보는데.."삭감 수준" "알바 못 써" 모두 불만
보셨듯이 올해도 역시 노동계와 경영계 모두 만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노동계는 물가 오르는 걸 감안하면 사실상 깎인 거나 다름없단 입장이고, 소상공인들은 이러면 아르바이트생을 쓸 수가 없다면서 거리로 나왔습니다.
양쪽 이야기는 오원석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를 넘었습니다.
이번 달이나 다음 달에는 6%를 넘을 수도 있다는 게 정부의 전망입니다.
최저임금을 5% 올리기로 했지만, 물가를 고려하면 사실상 깎인 거라는 불만이 노동계에서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정희/민주노총 정책실장 : 날이 갈수록 물가는 좀 더 높은 수준으로 될 텐데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굉장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최저임금위원회가 기계적인 계산을 해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게 노동계의 불만입니다.
정부와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평균내는데, 한국개발연구원의 전망치가 너무 낮았다는 겁니다.
더구나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지수가 많이 오른 점도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입니다.
반면 소상공인과 편의점주들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한 소상공인 단체 회원들은 장대비를 뚫고 거리로 나왔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안을 규탄한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민상헌/코로나피해자영업총연대 공동대표 : 코로나로 인해 2년여 동안 자영업자들이 엄청난 고통 속에 살았습니다. 또 최저임금을 올린다는 것은 자영업자 정책을 말살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편의점주협의회도 성명을 내고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지금도 인건비·임대료·가맹수수료를 빼면 남는 게 별로 없는데 최저임금이 오르면 한달에 30만원에서 45만원이 더 나가야 한다는 겁니다.
소상공인단체와 편의점주들은 이대로는 알바생을 쓸 수 없기 때문에 고용 축소로 이어질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홍빛누리)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지하철 물바다" 맨발의 출근…주택 축대는 '와르르' 무너져
- '이준석 성접대' 주장 대표 "대통령 만나게 힘써주겠다 말해"
- 임윤찬 "우승했다고 실력 는 건 아냐…달라진 건 없습니다"
- [단독] "태워선 안 될 수상보트에"…결국 돌아오지 못한 초등생
- 주식 안 오르면 돌려준다더니…환불 요청하자 '위약금 협박'
- [인터뷰] 전우원 "가족들, 5·18은 폭동이라며 세뇌시켜…새빨간 거짓말"
- 전기·가스요금 인상 잠정 보류…산업부 "동결은 아니다"
- [단독] "우리은행은 고검장 없었으면 힘들어"…박영수 '영향력 행사' 정황
- 강남 '여성 납치·살해' 3명 체포…"대청댐 인근에 유기" 자백
- 후쿠시마 원전 내부 손상 심각…'녹아내린 콘크리트' 붕괴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