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급락장에 홀로 급반등한 중국 증시.. 막차 잘못 타면 물립니다
최근 글로벌 증시가 베어마켓(약세장)에 진입한 가운데 주요국 증시 중 거의 유일하게 중국만 반등세를 보여 주목받고 있다.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질려 중국 주식을 팔아 치우기 바빴던 외국인들도 지난달 3개월여 만에 순매수로 전환하며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중국 비중을 늘리고 있다. 적극적인 주식 매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는 중국의 신용잔고 규모는 지난달 13일 기준 1조4665억위안(약 283조원)으로 한 달 반 만에 327억위안(약 6조3200억원) 늘어났다.
여기에 최근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까지 예상을 웃돌자 시장에는 중국 증시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중국 경제의 취약성이 여전하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봉쇄로 급락했던 中증시 대반전
지난해 이후 올해 4월까지 중국 증시는 악재에 악재가 겹치는 암흑기였다. 지난해 중국 당국이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 등 빅테크 기업에 대한 반독점 규제를 강화하자 IT 기업 주가가 폭락했고, 부동산 기업 헝다(恒大) 채무 위기가 불거지며 불안감이 증시 전반으로 확산됐다. 올 들어서는 오미크론 변이가 중국 본토로 유입되며 전국 대도시가 순차적으로 봉쇄에 들어갔다. 경기 침체 우려까지 더해지며 상하이지수는 1~4월 사이 16% 넘게 빠졌다. 4월 말에는 상하이지수가 1년 9개월여 만에 3000선 아래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거듭된 주가 하락에 좌절한 투자자들로부터 “중국 공산당의 정책이 세계 금융 위기에 버금가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홍콩 자산운용사 PAG그룹 웨이젠 산 대표)는 날 선 비판이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5월부터 대반전이 일어났다. 지난 2개월간 상하이지수는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3047.06에서 3409.21로 11.9% 올랐다. 같은 기간 한국 코스피가 10.1% 하락하고, 미국의 S&P500과 유럽의 유로스톡스50 지수가 각각 7.5%, 6.7%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 정부가 내놓은 일련의 경기 부양책이 증시 반등에 불씨를 댕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5월 중국 당국은 기준금리에 해당하는 LPR(대출우대금리) 5년물 금리를 0.15%포인트 인하하는 한편 자동차 구매세 인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정책 등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부양 의지를 드러냈다. 그동안 탄압의 대상이었던 빅테크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메시지를 연달아 내놨다. 지난 4월 말 중국 당국은 처음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주무대인 플랫폼 산업 발전에 대한 지지 입장을 밝힌 데 이어 5월에는 “플랫폼 산업 육성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6월 1일 경제 수도 상하이에 대한 전면 봉쇄가 65일 만에 해제되면서 주가 반등에 탄력이 붙었다.
한국투자증권 이동연 연구원은 “중국은 작년 말부터 부양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지만 4월까지는 실질 액션플랜이 부족했다”며 “5월 이후 정책이 구체화된 데다 고용·투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빅테크 규제가 완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 증시가 개선된 것”이라고 했다. 6월 중순 발표된 중국의 5월 산업생산·소매판매·고정자산투자 증가율(전년 대비)이 각각 0.7%, -6.7%, 6.2%를 기록하며 모두 시장 전망치(-0.9%, -7.1%, 6.0%)를 웃돈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 지표를 4월이 경기의 바닥이었다는 근거로 해석했다.
◇리스크 요인 산재한 중국 경제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로 주요국 증시가 극도의 부진에 빠진 가운데 중국 증시가 나 홀로 반등하자 투자자들의 눈길은 자연히 중국으로 쏠린다. 중국 금융정보플랫폼 윈드에 따르면 6월 1~13일 사이 중국 주식에 대한 신규 펀드 설정액은 107억9300만위안(약 2조원)으로 지난 4~5월 같은 기간(68억위안, 46억위안)과 비교해 각각 59%, 135% 늘었다. 지난 5월 중국 주식을 하루 평균 238억위안(약 4조6000억원)이나 순매도했던 외국인은 6월 들어서는 반대로 하루 평균 208억위안(약 4조원)가량을 순매수했다. 갈 곳 없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중국이 일종의 피난처가 된 셈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부양책 관련 호재가 중국 증시에 이미 대부분 반영된 데다 코로나 확산세에 따라 방역이 재차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상하이시는 전면 봉쇄가 해제된 6월 1일 이후에도 감염자가 나온 건물이나 지역을 부분 봉쇄하는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상당수 숙박시설, 피트니스센터, 놀이동산 등은 아직 영업 재개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다. 코로나 확진자가 조금이라도 늘어날 조짐이 보이면 폐쇄 카드를 꺼내드는 ‘질식형 방역’ 탓에 경기 회복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많다. 가령 지난 5월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웃돌긴 했지만 3개월 연속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서비스 소비는 전년 대비 40% 넘게 줄었다.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도 여전히 허약한 편이다. 중국 GDP(국내총생산)의 20%가 넘는 부동산 시장(투자 및 파생 서비스, 소비 포함)의 부실 위험과 투자 부진이 길어지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지난 1~4월 중국 부동산 신규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26.3% 줄었으며, 부동산 투자는 2.7% 감소했다. 1990년대 부동산 시장화 개혁 이후, 부동산 투자가 줄어든 것은 팬데믹 사태를 제외하면 처음 있는 일이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최근 9개월간 신용 등급이 내려간 중국 부동산 개발사는 91곳으로 과거 10년(2011~2020년)간 이뤄진 강등 조치 건수(56건)를 훌쩍 뛰어넘는다.
31개 대도시의 지난 5월 실업률이 9년 만의 최고치(6.9%)까지 상승한 것도 좋지 않은 신호다. 홍콩 노무라증권의 팅 루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봉쇄 완화로 공장 가동이 재개되겠지만 중국 경제는 난관을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진정한 전환점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당국이 재고하는 데서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WEEKLY BIZ Newsletter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조원 규모 불법 도박사이트 운영책 필리핀에서 체포
- “예약된 비행기표가 없습니다”…日 가려던 케이윌, 공항서 막힌 이유
- 다시 찾아온 동장군...내일 영하12도 맹추위
- 우즈, 아들과 우승컵 들까...가족 이벤트 대회 첫날 선두
- 전체 인구 1% 한국 부자, 전체 금융자산 59% 갖고 있다
- 회사 돈 빌려 53억 아파트 매입… 위법 의심 외국인 부동산 거래 282건 적발
- 홍준표 “사람 현혹해 돈벌이하는 ‘틀딱 유튜브’ 사라졌으면”
- 기아, 인도에서 콤팩트 SUV ‘시로스’ 세계 최초 공개
- 조국혁신당, 한덕수 탄핵 소추안 준비...“내란 방조, 부화수행”
- 금감원, 뻥튀기 상장 논란 ‘파두’ 검찰 송치